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도난 국가유산 정보

트위터 페이스북
제목
여주 상거리 이완장군 묘 석조물「장명등 · 동자석」
지정종별
경기도 기념물제16호
도난일자
1998/12/15
수량
3기
소유자
여주군
도난장소
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상거리 산19 이완장군묘
도난등록일자
2010-07-20
시대
1627년

장명등 1기, 동자석 2기

◎ 조선 중기의 무신인 매죽헌(梅竹軒) 이완(1602∼1674) 장군의 묘소이다.
인조(仁祖) 2년 (1624) 무과에 급제한 후 벼슬길에 오르게 되었으며, 평안도 병마절도사·함경도 병마절도사·경기도 수군절도사 등의 자리를 역임하였다. 1649년 효종이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갔던 치욕을 씻기 위해 북벌 정책을 계획할 때 어영대장, 훈련대장으로 발탁되었고 이어 훈련대장과 병조판서의 임무를 맡았다. 당시 제주도에 표류했던 네덜란드인 하멜을 시켜 신무기를 만들게 하였으며, 성곽의 개조와 신축 등을 추진해 나갔다. 그러나 효종이 재위 10년 만에 승하하자 북벌 계획이 중지되어 뜻을 이루지 못했다. 현종 때에는 수어사로 임명되었고, 포도대장을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다.
묘역은 봉분을 중심으로 둘레에 돌담이 둘러져 있고 봉분 앞에는 제물을 차려놓고 제사를 드리기 위한 상석과 향로석, 장명등(長明燈:무덤앞에 세우는 돌로 만든 등)이 있다. 묘역의 좌우에는 문인석·망주석·동자석이 각각 1쌍씩 있고, 조금 떨어진 곳에는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국가유산사범단속팀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