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주간 지정해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 확대
등록일
2024-06-03
주관부서
유산정책국, 교육활용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65

기존 활용사업 연계 강화한 ‘국가유산주간’(10.18.~11.3.) 및 제주도가 첫 운영 맡는 ‘국가유산 방문의 해’(10.18.~10.20.) 개최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전국 지방자치단체별로 제각각 다른 시기에 열리고 있는 생생 국가유산 사업과 향교서원 활용사업, 전통산사·고택종갓집 활용사업, 문화유산 야행사업의 다양한 프로그램들에 국민들의 참여도와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10월 18일부터 11월 3일까지 ‘국가유산주간(National Heritage Weeks)’을 정해 이 기간에 집중적으로 소개되도록 할 계획이다.

각 지역에 있는 국가유산의 의미를 재발견하여 국가유산의 가치를 확산하고, 지역 활성화에 기여해 온 국가유산청의 ‘우리고장 국가유산 활용사업’은 2008년 시작한 생생 국가유산 사업을 필두로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2014년~), 문화유산 야행(2016년~), 전통산사 문화유산 활용(2017년~), 고택종갓집 활용(2020년~)으로 범위를 넓히면서 올해는 전국 각 지역 국가유산 389개소에서 활용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 생생 국가유산 사업(150건): 원주 매지농악과 생기복덕, 곡성 섬진강 도깨비마을 등
*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사업(99건) : 광주 월봉서원, 세종 연기향교, 청주 신항서원 등
* 문화유산 야행사업(49건): 인천개항장 야행, 강릉 야행 등
* 전통산사 문화유산 활용사업(46건): 경주 칠불암 힐링체험, 제주 묘법연화경 실감체험 등
* 고택종갓집 활용사업(45건): 경주 독락당, 강진 영랑생가 등

이 중에서 10월 18일 개최되는 개막식을 시작으로 한 국가유산주간(10.18.~11.3.)에 열리는 프로그램들에는 보다 많은 관람객과 여행객들이 집중적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각종 체험과 특별 프로그램, 편의 등이 제공되도록 하고, 개별 인증도장을 찍어 기념품을 받을 수 있는 ‘도장 찍기 여행(스탬프 투어)’도 진행해 각 활용사업간 연계 효과를 높이고, 방문도 독려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첫 선을 보이는 주간인 만큼 해당 기간의 국민들의 집중도와 참여가 중요하므로, 최대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선보일 수 있도록 국가유산 주간에 동참할 수 있는 활용 프로그램들을 오는 7월 중에 추가로 더 모집할 계획이다.
* 유럽 ‘문화유산의 날’(매년 9월 주말) : 각 국가의 미개방 문화유산을 개방하거나 주제별 활용 프로그램 운영
* 일본 도쿄 ‘문화유산 위크’(9.1~12.8) : 일부 문화유산 특별 공개, 고택 탐방·강연회·홍보센터 등 운영

또한, 이와 별도로, 그동안 기초지자체에서 신청한 활용사업을 국가유산청이 선정해 지원했던 것에서 나아가, 올해부터는 권역별 광역지자체가 자율적으로 기획·시행하는 ‘국가유산 방문의 해’ 사업을 추진해 지역적 특성을 최대한 살리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도록 할 계획이다.
올해에는 제주특별자치도가 첫 운영을 맡아 2026년까지 2년간 ▲ 제주지역 국가유산의 활용 프로그램과 관광경로(코스)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 공모, ▲ 국가유산 방문의 해 선포식 개최(10.19.) ▲ 제주목관아 등 제주 지역 대표 유산들의 야간 공개 및 활용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선보일 예정이다.
* 일본 문화청의 ‘일본유산(Japan Heritage)’ 사업: 2016년부터 복수의 지자체가 공통된 주제로 선보이는 문화유산 활용 프로그램. 누리집에서 숙박처와 기념품 등의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일본의 고향사랑기부제(후루사토노제)와 연계한 사업 운영으로 문화유산을 활용한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

국가유산청은 「국가유산주간」과 「국가유산 방문의 해」 사업의 세부 프로그램을 오는 9월 중 국가유산청 누리집 등을 통해 별도 공지할 예정이며, 올해부터 새롭게 선보이는 두 사업을 통해 국민의 삶과 국가유산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돕고,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주체들이 국가유산 활용사업에 함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지역 공동체 회복과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생생 국가유산' 사업 중 하나인 '평택객사 숨쉬는 500년 객사'(2023년 5월)

< (생생 국가유산) 평택객사_숨쉬는 500년 객사(‘23.5.)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교육활용과 김기일 사무관(☎042-481-4824), 김가람 주무관(☎042-481-4825)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