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백제왕도 핵심유적 ‘익산토성’에서 백제 집수시설과 칠피갑옷조각 출토
등록일
2024-05-30
주관부서
문화유산국, 역사문화권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10

공주 공산성·부여 관북리유적 이은 세 번째 백제 칠피갑옷조각(5.30 공개)… 백제 문서 보관법 보여주는 봉축편도 확인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의 허가를 받아 익산시(시장 정헌율)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소장 유지원)가 발굴조사 중인 익산토성(사적)에서 백제의 집수시설이 조사되었으며, 집수시설 안에서는 ‘칠피갑옷조각(편)’이 출토됨에 따라 30일 오후 2시 30분에 관련 전문가와 일반인에게 공개한다.
* 발굴현장: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산52-2번지
* 집수시설: 물을 모아두는데 필요한 시설
* 칠피갑옷: 옻칠된 가죽을 연결하여 만든 갑옷

익산토성은 오금산(해발 125m)을 둘러싸고 있는 산성으로 일명 ‘오금산성’으로 불리며, 2017년부터 현재까지 연차적으로 정비발굴조사를 실시해왔다. 2017년 발굴조사에서는 서문지를 새로 발견했으며, 익산토성이 돌을 사용하여 쌓은 석성(石城)이라는 사실도 확인했다. 수부(首府)명 기와를 비롯한 백제시기의 기와가 다량 출토된 것으로 보아 익산토성이 남쪽으로 약 2.0㎞ 떨어진 ‘왕궁리유적’과 연계된 산성으로 추정된다.
* 수부명 : 백제의 왕이 기거하는 궁궐에 사용했던 기와를 의미함

올해 조사는 익산토성의 남쪽 곡간부 평탄지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이 지역은 앞선 1981년 남쪽 성벽을 조사하는 과정에서도 탐색조사를 했었으나, 당시에는 집수시설을 확인하지 못했다.
조사 결과, 직경이 각각 동서 9.5m, 남북 7.8m, 최대 깊이는 4.5m에 이르는 평면 원형 형태의 다듬은 거대한 석재 집수시설을 확인했다.
집수시설의 일부는 무너져 내렸으나, 하단부가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보존된 것으로 보아 과거 한 차례 보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바닥은 자연 암반을 인위적으로 깎고 다듬었으며, 특히, 북동쪽은 물이 중앙으로 유입되도록 암반을 가공하였다. 그리고 남쪽에는 석재를 이용하여 최대 높이 80㎝ 정도의 단(段)을 쌓았다.
그리고, 집수시설 안에서는 공주 공산성, 부여 관북리유적에 이어 세 번째로 출토된 칠피갑옷편을 비롯해 추정 봉축 목재편, 인장와 등 해당 집수시설이 백제시기에 사용되었음을 알려주는 많은 백제 기와편과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문서를 분류할 때 사용된 봉축편으로 추정되는 직경 2.3㎝ 크기의 목재 막대기에는 “정사(丁巳) 금재식(今在食: 현재 남아있는 식량)” 이라는 묵서명이 확인되었다. 추후 추가 연구를 통해 해당 유물이 봉축편으로 확인될 경우 백제시기 문서 보관 방법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익산토성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유물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丁巳(정사:597년 혹은 657년)’ 기년을 통해 익산토성의 운용 시기도 추정할 수 있다.
* 곡간부 : 성의 일부지역으로 비교적 다른 성벽에 비해 높이가 낮은 지역을 의미함
* 인장와(印章瓦) : 도장을 찍은 기와
* 기년명(紀年銘) : 어떠한 기물 등에 제작 당시의 연호, 연대를 기입한 글

이번 조사 결과는 자연 지형을 이용하여 유수(流水)의 관리 방법과 이를 활용한 백제인의 토목기술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국가유산청은 익산시와 함께 이번 발굴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익산토성의 체계적인 정비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관계기관과의 적극적인 연구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익산지역의 백제왕도 핵심유적에 대한 학술조사를 꾸준히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익산토성 집수시설 전경(공중촬영)

< 익산토성 집수시설 전경(공중촬영)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역사문화권과 유철 서기관(042-481-3123), 이영일 연구관(☎041-852-9729)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