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기와, 공간을 만들다
등록일
2016-06-08
주관부서
발굴제도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653

- 영남지역 기와 가마터 발굴성과를 다룬 특별전시회 개최 -


- 6월 14일~9월 18일 국립김해박물관 기획전시실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과 사단법인 한국매장문화재협회(회장 조상기), 국립김해박물관(관장 임학종)은 오는 14일부터 9월 18일까지 국립김해박물관에서 특별전 「기와, 공간을 만들다–최근 발굴 자료로 살펴본 영남지역의 기와」를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시회는 영남지역의 삼국~조선 시대까지의 기와 가마터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와 의미를 되돌아보고 관련 체험을 할 수 있는 자리로, ▲ 제1부 ‘흙, 인류문화와 함께하다’ ▲ 제2부 ‘기와를 만들다’ ▲ 제3부 ‘과학의 눈으로 들여다보다’ ▲ 제4부 ‘기와 공간을 만들다’ 등 총 4부로 구성된다.
 
 먼저 제1부 ‘흙, 인류 문화와 함께하다’에서는 토기와 기와를 통해 동‧서양에서 흙이 갖는 상징성과 인류가 흙과 더불어 일구어 온 삶의 발자취를 더듬어 본다. 제2부 ‘기와를 만들다’에서는 경주 월성과 화곡리, 고령 송림리, 함안 소포리 등 영남지역에서 출토된 유물과 소뼈를 살펴보며 기와의 생산과 소비, 생산 의례를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고(故) 한형준 제와장(국가무형문화재 제91호) 보유자가 사용하던 기와 제작 도구 유품과 일본 도쿄대박물관이 소장 중인 고령 대가야왕궁터 출토 연꽃무늬수막새도 만나 볼 수 있다.

 

  이어지는 제3부 ‘과학의 눈으로 들여다보다’에서는 기와 제작에 어떤 흙이 사용되는지 직접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지는 체험과 함께 특수 현미경을 통해 흙 속 세상도 경험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제4부 ‘기와, 공간을 만들다’에서는 가야와 신라 사람들이 만든 집모양토기를 통해 기와가 오랜 세월 우리와 함께하며 아늑한 삶의 공간이 되었음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특별전시회 이외에도 영남지역 기와 가마터 발굴조사에 대해 보다 심도있고 상세한 이야기를 들어 볼 수 있는 명사 초청 특별강연, 큐레이터와의 대화 시간이 마련되며, 전시관람 활동지를 배포하는 등 온 가족이 함께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된다.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이번 특별전은 기와를 주제로 영남지역의 발굴조사 성과를 국민과 함께 나눔으로써 생소하게 느껴졌던 매장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유익한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집모양토기>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발굴제도과 문영철 사무관(☎042-481-4941) 또는 윤민재 주무관(☎042-481-4943)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