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무등산 주상절리대」천연기념물 지정
등록일
2005-12-14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2116




문화재청(청장 兪弘濬)은 광주광역시 동구 용연동과 전남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에 있는「무등산 주상절리대(無等山 柱狀節理帶)」를 국가지정문화재인 천연기념물 제465호로 지정했다.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중생대 백악기에 발생한 화산 활동의 산물로서 용암이 냉각·수축하면서 굳어져 만들어졌으며, 오랜 세월동안의 물리적 풍화에 의해 기둥모양 혹은 병풍모양을 하고 있어 경관이 수려하고 학술적 가치가 커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게 되었다.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입석대와 서석대 그리고 규봉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중 입석대와 서석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키로 하였다. 입석대는 5~8각, 둘레 6~7m, 높이 10여m의 독립된 돌기둥 수십 개가 수직으로 하늘을 찌르듯 솟아 있으며(그림1), 서석대는 발달한 용암이 돌 병풍 모양으로 동서로 길게 발달해 있다(그림2). 입석대와 서석대의 주상절리는 돌기둥 하나의 크기가 지금까지 남한에서 보고된 것 중 최대의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주변의 수목 및 무등산과 어울려 매우 아름다운 경관이 감탄을 자아내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등산 주상절리대는 주변의 빼어난 자연경관과 함께 온대남부식물이 고루 분포하고 있어 자연문화 체험학습장으로서의 역할도 크게 기대된다. [SET_FILE]1[/SET_FILE]
입석대
<입석대>


서석대
<서석대>
담당자 : 천연기념물과 강흔모 연락처 : 042) 481-4989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