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중요민속자료 지정
등록일
2006-09-15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7305




- ‘이응해장군묘 출토복식’ 중요민속자료 지정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지난 9월 8일 문화재위원회(무형문화재분과)의 심의를 거쳐 ‘이응해장군묘 출토복식’ 13건 34점을 중요민속자료 제246호로 지정하였다. 이응해(李應獬, 1547~1627)는 1613년(광해 5년) 전라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무관으로 지난 2002년 묘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복식류 등이 출토되어 충주시립박물관에서 수습·소장 중이었다. 출토된 복식류는 창의(氅衣-조선시대 사대부들의 평상복)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17세기 남성 복식류와 이불 등이 있다. 복식류 대부분이 봉황문과 다양한 꽃무늬, 구름무늬 등이 장식된 견직물로 제작되었으며, 남성용 복식류임에도 불구하고 의복의 구성이 화려해 피장자인 이응해의 살아생전 심미안을 짐작할 수 있는 격조 높은 옷들로 평가되었다. 특히, 단령(團領- 조선시대 관복으로 깃이 둥글며 소매가 넓고 길이가 길어 발까지 내려옴) 안은 화려한 꽃무늬가 펼쳐진 비단이며, 겉은 안이 비치는 얇은 숙초(熟綃- 삶은 명주실로 짠 견직물)로 제작되어 매우 귀한 자료이다. 또한, 복식류에 사용된 바느질법은 홈질, 감침질, 시침질, 박음질 등으로 다양하며, 특히 정교한 옛쌈솔 바느질법이 주목된다. 옛쌈솔은 조선전기 철릭이나 단령 등 곱고 가는 홑옷의 배래나 옷감의 곧은선[直線]과 어슨선[斜線]을 연결할 때 사용하던 바느질로 매우 정교하여 많은 정성이 드는 바느질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응해 묘에서 출토된 복식의 대부분은 겉옷인 포류(袍類)로 직령, 창의, 방령, 단령 등 그 종류도 다양하여 임진왜란 이후 남성 겉옷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이응해는 우리나라 복식 변천의 격동기라고 할 수 있는 임진왜란 전후에 생존한 인물로 당시 복식 변천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써 가치가 커 복식류와 함께 이불, 자리 등의 치관류(治棺類) 등 총 34점을 지정하게 되었다. ※ 첨부 [SET_FILE]1[/SET_FILE]
[방령포]
<[방령포]>


[철릭]
<[철릭]>
[CENTER]

옛쌈솔(안)
<옛쌈솔(안)>


옛쌈솔(겉)
<옛쌈솔(겉)>
[/CENTER] 담당자 : 무형문화재과 문영철 연락처 : 042-481-4964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