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근대기 화풍의 종교화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예고
등록일
2025-02-13
주관부서
근현대유산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55

96년 역사 간직한 「칠곡 구 왜관성당」과 영화 「낙동강」, 「돈」, 「하녀」, 「성춘향」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하고, 「칠곡 구 왜관성당」, 영화 「낙동강」, 「돈」, 「하녀」, 「성춘향」 5건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였다.

이번에 등록 예고한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는 불교의 수미세계도의 형식을 빌려 민족종교인 수운교의 세계관을 상·중·하 3단으로 표현한 종교화이며, 수운교의 교리로 평가된다.
* 수운교(水雲敎) : 1923년에 창시된 민족종교로, 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崔濟愚, 1824~1864)의 호 수운(水雲)에서 따온 명칭임
* 수미세계도(須彌世界圖) : 불교의 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우주관을 표현한 종교화

가로 239.5cm, 세로 162cm의 화면을 크게 3단으로 구분해 각각 부처, 하늘, 인간을 뜻하는 무량천계(상단), 도솔천계(중단), 인간계(하단)를 배치하여, 불계(佛界)·천계(天界)·인계(人界)의 삼계 하늘이 하나이고, 부처·하늘(하날님)·인간의 마음도 하나라는 불천심일원(佛天心一圓)의 교리를 표현하였고, 제작 기법과 표현 양식은 근대기의 화풍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한편, 이번에 등록된 문화유산은 「칠곡 구 왜관성당」과 영화 「낙동강」, 「돈」, 「하녀」, 「성춘향」까지 총 5건이다.

「칠곡 구 왜관성당」은 1928년 가실본당(1924년 건립된 경상북도 최초 천주교 본당) 소속 공소에서 본당으로 승격되면서 건립된 예배당 건물로, 높은 첨탑과 반원아치 창호 등 성당 건축의 특징을 현재까지 잘 유지하고 있다. 선교활동을 펼치던 독일 성 베네딕도회의 수도자들이 한국전쟁 기간 중 이곳에 피난을 와서 세운 ‘베네딕도수도원’이 오늘날의 ‘성 베네딕도 왜관수도원’으로 성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장소라는 점에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
* 본당: 주임 신부가 상주하는 성당
* 공소: 본당보다 작은 단위로, 주임 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예배소나 그 구역

한국전쟁 중이던 1952년에 개봉한 전창근 감독의 영화 「낙동강」은 대학 졸업 후 낙동강 유역으로 귀향한 주인공이 마을 사람들을 계몽하고 살기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내용으로, 한국전쟁 낙동강 전투 장면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며, 전시상황에서도 창작 활동을 멈추지 않은 당대 문화예술인들의 열정을 엿볼 수 있다.
* 전창근(全昌根, 1908년 1월 18일∼1973년 1월 19일) : 연극인, 영화감독 겸 배우

1958년 개봉한 김소동 감독의 영화 「돈」은 순박한 농사꾼인 주인공을 통해 당대 문제가 되었던 농촌 고리대, 사기꾼의 성행 등 농촌 문제를 가감 없이 드러내었으며, 산업사회로 넘어가는 시기의 열악한 농촌의 현실을 사실적이면서도 비극적으로 묘사한 한국 사실주의(리얼리즘) 영화의 대표작 중 하나다.
* 김소동(金蘇東, 1911년 6월 3일∼1988년 11월 9일) : 영화감독 겸 대학교수

1960년 개봉한 김기영 감독의 영화 「하녀」는 2층 단독주택으로 상징되는 중산층 가족과 그 집에서 신분상승을 꿈꾸는 하녀를 주인공으로 하여 인간의 욕망과 억압, 공포와 불안 등 당대 한국 사회의 긴장과 모순을 드러낸 한국영화사의 대표작 중 하나다.
* 김기영(金綺泳, 1919년 10월 10일∼1998년 2월 5일) : 영화감독·각본가

1961년 개봉한 신상옥 감독의 「성춘향」은 특수 렌즈로 찍은 촬영본을 넓은 화면(와이드 스크린)에 생생한 색감으로 구현한 한국 최초의 ‘컬러 시네마스코프’ 영화로, 화려한 색감을 통해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등 한국 영화 산업의 기술적 변화를 보여주는 흥행작이자 해외 영화제에도 출품되는 등 국내외에서 인정받은 작품으로 영화사적 의의가 높다.
* 신상옥(申相玉, 1926년 9월 12일∼2006년 4월 11일) : 영화감독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등록한 「칠곡 구 왜관성당」, 영화 「낙동강」,「돈」, 「하녀」,「성춘향」에 대해 해당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와 함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활용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는 한편, 등록 예고한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에 대해 30일간의 등록 예고 기간 동안 수렴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 또한,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근현대문화유산을 꾸준히 발굴·등록하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계획이다.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

<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 및 영화 「낙동강」,「돈」, 「하녀」,「성춘향」 관련: 근현대유산과 임미정 주무관(☎042-481-4913), 「칠곡 구 왜관성당」 관련: 심종헌 주무관(☎042-481-4923)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이전글
등록된 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조선시대 국왕의 능행을 심층 분석하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