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디지털 기술 만난 조선왕조 의궤 속 희비애락이 펼쳐진다
등록일
2024-05-23
주관부서
국가유산산업육성팀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73

조선 의궤 기록을 디지털로 복원한 ‘조선의 희비애락, 한눈에 보다’ 전시 개최(5.23.~7.28.)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최영창), 수원화성박물관(관장 한동민)과 함께 5월 23일부터 7월 28일까지 수원화성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조선시대 의궤(儀軌) 기록을 디지털 기술로 복원한 콘텐츠와 관련 유물을 선보이는 ‘조선의 희비애락, 한눈에 보다’ 전시를 개최한다.
* 의궤(儀軌): 조선시대 왕실이나 국가의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기록

이번 전시는 조선시대 기록문화의 정수로 꼽히는 의궤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여 조선시대 다섯 가지 의례(五禮) 중 가례(家禮)·길례(吉禮)·흉례(凶禮)에 해당하는 행사를 구현한 콘텐츠와 수원화성박물관 소장 관련 유물을 전시하여 의궤의 의미와 가치를 보여준다.

먼저, ▲ 가례인 ‘연향(燕享)’은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1848) 속 ‘무신진찬연’의 내진찬과 야진찬 장면을 증강현실(AR)로 구현하였다. 순원왕후에게 올린 하례와 헌종과 순원왕후의 연향 참여 모습, 정재무 공연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무신진찬의궤, 화성행행도(華城行幸圖) 8폭 병풍,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등 연향과 관련된 유물을 함께 전시하였다.
* 헌종무신진찬의궤(憲宗戊申進饌儀軌): 1848년(헌종14) 3월에 창경궁의 통명전에서 대왕대비 순원왕후의 육순과 신정왕후 망오(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41세를 이르는 말)를 경축하기 위하여 베푼 연향에 대한 기록
* 내진찬(內進饌) : 중궁전(中宮殿)에서 베푸는 진찬
* 야진찬(夜進饌) : 궁중에서 밤에 하는 진찬
* 정재무(呈才舞) : 고려와 조선시대에 궁중에서 공연했던 악가무의 종합예술

▲ 길례(吉禮)인 ‘종묘제례(宗廟祭禮)’는 종묘의궤(宗廟儀軌)(1706)를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관람객은 다각도의 카메라 기법을 활용한 영상을 통해 실제 종묘제례에 참석한 것과 같은 웅장함을 느낄 수 있으며, 종묘제례악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무인 단말기(키오스크)를 통해 종묘 정전의 신실 등을 살펴보고 기물의 정보를 볼 수 있다.

▲ 흉례(凶禮)는 정조 임금의 국장 의식에 대한 기록인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1800)를 바탕으로, 의장과 행렬뿐만 아니라 방상시(方相氏)와 곡하는 궁인(哭宮人)까지 표현해 조선시대의 국장행렬을 상세하게 구현하였다.
* 방상시(方相氏) : 귀신을 쫓아내는 나례(儺禮)와 장례 행렬에서 악귀를 쫓아내는 대표적인 대신(大神)

국가유산청은 이번 전시를 통해 국민에게 의궤와 오례의(五禮儀)를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여 우리 기록유산의 가치를 널리 확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국가유산 디지털 콘텐츠를 적극 개발·활용하는 적극행정을 지속해나갈 계획이다.



‘조선의 희비애락, 한눈에 보다’ 홍보물(포스터)

< ‘조선의 희비애락, 한눈에 보다’ 홍보물(포스터)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가유산산업육성팀 류슬비 사무관(042-481-3154), 박진경 주무관(042-481-3156)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