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영문 동시배포) 「고려도경」 속 그림 연구 위해 전문가들 모인다
등록일
2023-09-21
주관부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812

‘선화봉사 고려도경 900년’ 국제학술대회 개최(9.22. 목포 샹그리아비치호텔)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오는 9월 22일 오전 9시 목포 샹그리아비치호텔(대연회장)에서 「선화봉사 고려도경 900년(宣和奉使高麗圖經 900年, 이하 고려도경)」이라는 주제로 해양실크로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해양실크로드 국제학술대회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국내외 전문가를 초청하여 해양문화유산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전문적인 연구 협력망(네트워크)을 구축하기 위해 2006년부터 매년 개최해온 행사이다. 이번에는 송나라 사신단 서긍(徐兢) 일행의 고려 방문 900년을 맞아 『고려도경』을 새로운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고려도경』은 송나라 사신 서긍(徐兢)이 1123년(고려 인종 1) 휘종(徽宗, 1082~1135)의 명을 받고 고려에 한 달 남짓 머무르다 귀국한 후 이듬해에 고려 문화에 대해 글과 그림으로 저술한 여행 보고서이다.
송나라 사신의 눈에 비친 그 당시의 고려 개경과 풍속, 물건 등을 폭넓게 기록하고 있어 고려 시대 연구에 매우 중요한 사료지만, 현재는 그림(도圖) 부분은 전해지지 않고, 글(경經) 부분만 남아 있다.

이번 행사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 『고려도경』 책 속의 그림 부분을 다양한 시각에서 상상해보고 해석하며 해양사적 의미를 고찰해보기 위하여 고려도경의 내용에 한정하지 않고, 총 8개의 다양한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먼저, 강봉룡 목포대 교수가 ‘1123년 송(宋)의 (봉사고려 사신단)奉使高麗 使臣團 파견의 실상과 의의-‘대고려 거대 외교프로젝트’의 관점에서-’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한다.

이어서 주제 발표는 ▲ How Reliable is the Gaoli Tujing?(SEA ANDREC VERMEERSCH 셈 베르메르스, 서울대) ▲ 도쿄대학 소장 ‘당선지도(唐船之図)’를 통해 본 신주(神舟)의 선형과 구조(문경호, 공주대) ▲ 공교(工巧)한 고려 기명(器皿)과 『고려도경』(박지영, 국립무형유산원) ▲ 『고려도경』에 기록된 신주(神舟)·객주(客舟)의 크기와 의미(이종봉, 부산대 )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철필등사본(鐵筆謄寫本) 『고려도경』의 의의(강민경, 국립제주박물관) ▲ 일본의 『선화봉사고려도경』 연구와 유라시아적 관점에서 본 전망(四日市 康博 요카이치 야스히로, 릿쿄대) ▲ 『고려도경』에 나타난 군산도 송사신 영접 공간구조(진호신,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 『선화봉사 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의 대만 연구 현황과 성찰(陳玉秀 위슈천, 중화민국 국립고궁박물원) 순으로 진행된다. 각 주제발표마다 10분 내외의 개별 토론도 진행된다.

주제발표와 개별토론이 끝나면 박종기 국민대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와 참가자들이 다양한 시각에서 의견을 나누는 종합토론이 진행된다.

행사 당일 현장에서 등록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으며, 발표자료집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seamus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다양한 분야와 연구협력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며, 앞으로도 해양문화유산 분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학술행사를 운영할 계획이다.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Director: Kim Seong-bae)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osts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maritime silk road under the title “900 Years of the Illustrated Account of the Xuanhe Embassy to Goryeo.” The conference will be held at nine o’clock on September 22 at Sangria Beach Hotel in Mokpo.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maritime silk road has been held annually since 2006 with the aim of shar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maritime cultural heritage between experts in Korea and overseas and constructing an international network for specialized research cooperation. The event held this year to mark the 900th anniversary of the visit of the Song envoys led by Xu Jing to Goryeo is aimed at understanding Illustrated Account of the Xuanhe Embassy to Goryeo (Xuanhe Fengshi Gaoli Tujing) from a new viewpoint. 


Illustrated Account of the Xuanhe Embassy to Goryeo (Gaoli Tujing) is a book of illustrated text on Goryeo culture authored by Xu Jing one year after visiting Goryeo (918-1392) in 1123 as a Song envoy under orders from Emperor Huizong of Song (1082–1135) and staying there for about a month before returning to his country. The book originally consisted of illustrations (圖, tu) and texts (經, jing) related to a variety of cultural aspects of Goryeo, but only the texts remain today. The topics that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Song envoy visiting Goryeo were extensive from the daily life of Korean people in the Goryeo capital Gaegyeong and folk customs to various household items, providing valuable sources of information for the study of Korean society in the Goryeo period.


Participants in this international conference present their own imagina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e illustrations contained in the original edition of the book Gaoli Tujing, though they failed to survive today just like the book A Picture-book Without Pictures (1839) wherein Danish author Hans Christian Andersen created paintings using texts or Songs Without Words wherein German composer Felix Mendelssohn wrote songs only with piano tunes, helping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the maritime history in the Goryeo period.


The presentations in the event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of the Gaoli Tujing but deal with a greater variety of topics starting with the keynote lecture “Facts and Significance of the Song Envoys Sent to Goryeo in 1123 – From the Viewpoint of the Grand Diplomacy Project for Goryeo” presented by Professor Kang Bong-yong from Mokpo University. The keynote is followed by other presentations: ▲ “How Reliable is the Gaoli Tujing?” (Sem Andrec Vermeersch,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 “Shape and Structure of the Divine Vessels Based on The Illustration of the Tang Ship Collected by the University of Tokyo Library” (Mun Gyeong-ho, professor, Kongju National University); ▲ “Exquisite Dishware of Goryeo and the Gaoli Tujing” (Park Ji-young,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 “Size and Significance of the Divine Vessels and Passenger Boats Recorded in the Gaoli Tujing” (Lee jong-bong, Pusan National University); ▲ “Significance of the Stencil Duplicator Edition of the Gaoli Tujing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Kang Min-kyeong, curatorial researcher, Jeju National Museum); ▲ “Studies of the Gaoli Tujing in Japan and Prospect from the Eurasian Viewpoint” (Yokaichi Yasuhiro, professor, Rikkyo University); ▲ “Layout of the Song Envoy Reception Space on Gunsando Island Based on the Gaoli Tujing” (Jin Ho-Shin, curatorial research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and ▲ “Facts of the Research on the Gaoli Tujing in Taiwan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Yuh-Shiow Chen, National Palace Museum of Taiwan). 


The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re followed by a comprehensive discussion chaired by Park Jong-ki (Emeritus Professor of Kookmin University) wherein the presenters and discussants—Jang Ji-yeon (professor, Daejeon University), Park Hyun-kyu (professor, Soon Chun Hyang University), Choi Myeong-ji (curatorial researcher, Gwangju National Museum), Lee Jun-hyeok (curatorial researcher, Busan Museum), Kim Bang-wool (researcher, Korean Studies Institute), Han Sung-uk (representative director, National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Byun Nam-ju (professor, Kookmin University), and Kim Yae-kyeoung (curatorial research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exchange their ideas on a variety of topics related to maritime cultural heritage.


The event is open to anyone who agrees to go through a simple registration process at the entrance to the event venue. The sourcebook of the conference is accessible through the official website (www.seamuse.go.kr) of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continue to devote its resources to boosting cooper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academic organizations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various academic events aimed at promoting the interest of the public in maritime cultural heritage.


포스터.jpg

< 홍보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진호신 연구관(☎061-270-3025), 박세나 연구사(☎061-270-2057)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