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영문 동시배포) 자주 외교를 향한 조선의 노력 ‘한미수교 140주년’ 특별전 개최
등록일
2022-10-13
주관부서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675

국가등록문화재 공개 전시 「갓 쓰고 미국에 공사 갓든 이약이」 / 10.14.~12.13.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인규)은 한․미 수교 140주년을 기념해 10월 14일부터 12월 13일까지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최근 국가등록문화재가 된 한미수교 관련 기록물들을 다양한 전시로 기획한 「갓 쓰고 米國미국에 公使공사 갓든 이약이이야기」 특별전을 개최한다.
*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 5. 22.

  전시 출품작인 「주미조선공사관 관련 이상재 기록」은 올해 5월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 「미국공사왕복수록(美國公私往復隨錄)」과 「미국서간(美國書簡)」으로 구성된 기록물로, 1887년 미국 주재 외교 사절로 파견됐던 초대(初代) 주미전권공사(駐美全權公使) 박정양(朴定陽, 1841~1905년)을 수행했던 이상재(李商在, 1850~1927년) 서기관이 당시 주미조선공사관에서의 업무와 생활에 대해 기록했던 자료들이다. 해당 기록들은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 주미조선공사관: 조선은 1882년 서양 국가 최초로 미국과 조미수호통상조약을 맺고 1889년 주미조선공사관을 설치하였다. 공사관은 이후 16년간 외교활동의 중심무대가 되었다.

  이번 전시는 두 기록물과 관련 자료를 종합적으로 구성해 주미공사 박정양과 공사 관원 일행이 펼쳤던 초기 외교 활동을 살펴보는 자리로, 전시 구조물과 그림(그래픽) 요소 등을 곳곳에 활용해 관람객이 마치 주미조선공사관에 실제로 방문한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연출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각 주제별 일화(에피소드) 형식으로 만든 만화(애니메이션) 영상을 배치해 관람객이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했다.

  4개의 주제로 구성되는 이번 전시는 ▲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이듬해에 조선이 답례로 미국에 파견한 외교 사절 보빙사(報聘使)의 활동을 소개하는 ‘새로운 세계와 마주하다’ 구역으로 시작된다.
관련 유물과 함께 당시 보빙사가 통역에 어려움을 겪었던 상황이나 신문물인 전기를 처음 본 모습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꾸몄다.
* 보빙사: 외국에 우호, 친선 및 교섭을 위한 보빙(報聘, 답례로 외국을 방문함) 명목으로 파견하는 사절단

  ▲ 1부 ‘자주 외교를 향한 노력, 첫 발을 내딛다’에서는 초대 주미공사 박정양과 공사 관원 일행이 청나라의 간섭 속에서 힘겹게 1888년 1월 워싱턴 D.C.에 도착해 상주 공사관을 열고 독자적인 외교를 펼치고자 한 모습과 미국의 근대 시설과 제도를 돌아보고 조선의 근대화를 위해 노력한 활동을 조명한다. 낯선 나라에서 좌충우돌하는 주미공사 일행의 일상생활을 영상으로도 만나볼 수 있다.
워싱턴 D.C.에서 촬영된 <초대 주미공사 박정양 일행 사진>, 수행원이자 서화가였던 강진희가 최초로 그린 미국 풍경인 <화차분별도(火車分別圖)>, 고종과 순종의 탄신일을 기념하기 위해 각각 그렸던 <승일반송도(昇日蟠松圖)>와 <삼산육성도(三山六星圖)>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미국공사왕복수록」과 「미국서간」을 비롯해 박정양이 남긴 기록을 정리한 「죽천고(竹泉稿)」등도 전시된다.
또한 공사관의 집무실 공간인 정당(正堂)과 접견실 공간인 객당(客堂) 내부를 토대로 공간을 연출했다. 특히 객당으로 꾸민 별도 공간에서는 관람객이 자주 외교를 펼치기 위해 고군분투한 박정양 공사 일행의 1년여 간의 이야기를 벽난로 앞에서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고, 공사관 도장을 직접 찍어보며 공사 관원의 업무를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 정당: 공사관의 중심 공간으로 집무실 역할을 했던 공간
* 객당: 손님을 맞는 접견실 역할을 했던 공간

  ▲ 2부 ‘본격적인 외교 활동을 펼치다’에서는 박정양 공사가 청나라의 압력에 의해 조선으로 소환된 후, 1889년 2월 두 번째 상주 공사관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외교 활동을 펼치는 주미공사들의 미국 언론 소개 모습을 살펴본다. 대한제국기(1897~1910년) 근대적 통신시설과 체계를 나타내는 지도인 <우전선로도본(郵電線路圖本)>, 전등이 설치된 궁궐 및 전차 사진 등을 통해 조선에 도입된 근대 문물의 사례를 소개한다.

  ▲ 마지막으로 맺음말 구역은 ‘미국 속의 한국, 주미조선(대한제국)공사관’으로, 현재 워싱턴 D.C. 로건서클에 남아있는 두 번째 공사관의 모습을 영상을 통해 보여준다. 이 공사관은 1910년 일제에게 소유권을 빼앗겼으나 2012년 정부와 민간의 노력으로 되찾았고, 이후 보수․복원 사업을 거쳐 2018년에 당시 모습을 재현한 전시실 형태로 개관했다.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은 이번 전시가 고립에서 벗어나 근대로 나아가려 했던 시기에 박정양 공사와 이상재 서기관 등 일행의 외교적 노력을 관람객이 돌아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적극행정의 일환으로 국민 누구나 볼 수 있도록 문화재청 유튜브에서 전시해설 영상을 제공하고,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에서 전시실 전체를 가상현실(VR)로도 볼 수 있게 할 예정이다.
*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 https://www.gogung.go.kr/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Director: Kim In-kyu), an affiliat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is hosting the special exhibition Diplomats in Gat: The Story of the Joseon Legation in Washington, D.C. The exhibition introducing new state-registered cultural heritage in celeb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the U.S. will be held in the Special Exhibition Gallery on the second floor of the museum building from October 14 through December 13.
* Korea-United States Treaty of 1882: Concluded on May 22, 1882

In May 2022, two archival records left by Yi Sang-jae (1850–1927), a secretary with the first Korean legation in the U.S., were newly designated as state-registered cultural heritage. They consist of a collection of materials related to diplomatic affairs that Yi compiled and a collection of letters from Yi to his family. These records document the tasks and life of the Korean legation in the U.S. as recalled by Yi Sang-jae while assisting Pak Chung-yang (1841–1905), the first minister plenipotentiary to the U.S.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early diplomatic activities by the minister plenipotentiary Pak Chung-yang and his entourage, who were dispatched to the U.S. in 1887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 It provides a synthetic overview of these two state-registered cultural heritage pieces and other related materials.

The exhibition is based on four themes: “Encountering a World of Light,” “Taking the First Steps towards Independent Diplomacy,” “Continuing the Legacy of Diplomacy,” and “The Korean (Empire) Legation in the U.S.: Korea in America.” The exhibition space is designed by utilizing display structures and graphic elements in such a manner that visitors feel like passing through the Korean Legation building in the U.S. Cartoon clips featuring theme-related episodes are screened in each exhibition section to facilitate an understanding of the exhibition’s contents.

The prologue, entitled “Encountering a World of Light,” introduces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Bobingsa Delegation dispatched to the U.S. as a diplomatic visit one year after the Korea-United States Treaty of 1882, the first treaty Joseon Korea signed with a Western country. Along with related artifacts, it exhibits a cartoon clip featuring the Korean Bobingsa Delegation as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translation and encountered electricity for the first time.

The first section “Taking the First Steps towards Independent Diplomacy” focuses on the journey to the U.S. undertaken by Pak Chung-yang, the first minister plenipotentiary to the U.S., and his entourage while dealing with Chinese interference; their efforts to open the Korean legation for residence and to engage in independent diplomacy after their arrival in Washington, D.C. in January 1888; and their activities to support the modernization of Korea, including inspecting the modern facilities and systems in the U.S. Moreover, this section presents a cartoon clip featuring interesting scenes from the chaotic daily lives of Pak Chung-yang and his entourage in this foreign land.


This section also displays a photo of the staff at the first Korean legation in the U.S., including Pak Chung-yang. Also shown are U.S. Landscape with Trains by the calligrapher and painter Kang Jin-hui, who was an attendant with the Korean Legation, and other paintings, Rising Sun with Pine Tree and Three Mountain Peaks with Six Stars, which were produced by Kang to celebrate the birthdays of King Gojong and his crown prince, who later became Emperor Sunjong. Among other displayed objects are a collection of materials related to diplomatic affairs compiled by Yi Sang-jae, a collection of letters from Yi to his family, and Jukcheongo, an anthology by Pak Chung-yang.


Furthermore, there are spaces designed based on the jeongdang (central office) and gaekdang (reception room) of the Korean legation building. Within the gaekdang space, visitors can enjoy in front of a fireplace a video clip relating the story of Pak Chung-yang and his entourage as they struggled to perform independent diplomacy over the course of a year. They can also imagine themselves a member of the legation staff and experience their tasks by stamping the seal of the Korean Legation.
* Jeongdang: central space of the Korean legation that functioned as an office
* Gaekdang: reception room for welcoming guests


The second section “Continuing the Legacy of Diplomacy” features information on Korean minister plenipotentiaries to the U.S. as introduced in U.S. newspapers and magazines at the time, including their preparation of the second legation building for residence in February 1889 and full engagement in diplomatic activities after Pak Chung-yang’s recall to Korea due to Chinese pressure. This section also sheds light on the products of modern technology introduced to Korea by presenting the Map of Postal, Telecommunication, and Traffic Networks during the Korean Empire era (1897–1910), photos of the palace with electric lamps, and photos of streetcars.


The epilogue “The Korean Legation in the U.S.: Korea in America” spotlights the second Korean legation building currently remaining in Logan Circle in Washington, D.C. through a video clip. Ownership of the legation building was taken over by Japan in 1910. However, in 2012 the building returned to Korean ownership thanks to efforts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After being repaired and restored, it was officially opened to the public in 2018.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opes that this exhibition can offer visitors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and appreciate the struggles experienced by minister plenipotentiary Pak Chung-yang and his entourage, including the secretary Yi Sang-jae, during their diplomatic efforts in a period when Korea was attempting to depart from diplomatic isolation and advance as a modern state. As part of the museum’s efforts at proactive administration, the exhibition will be presented online through a video of a curator-guided tour broadcast on the YouTube channel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entire exhibition gallery will also be available on the museum’s website through virtual reality (VR) components.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website: https://www.gogung.go.kr/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YouTube: https://www.youtube.com/chluvu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YouTube: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포스터) ´갓 쓰고 미국에 공사 갓든 이약이´ 전시.jpg

< 홍보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고궁박물관 안경숙 연구관(☎02-3701-7641), 임지윤 연구사(☎02-3701-7642)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