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가무형문화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김윤수 보유자 별세
등록일
2022-09-02
주관부서
무형문화재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043

  국가무형문화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김윤수(1946년생) 보유자가 병환으로 9월 2일(금) 오후에 별세하였다.

□ 생년월일 : 1946. 7. 9.
□ 사망일시 : 2022.9.2.(금) 14시 20분 경
□ 빈 소 : 제주 부민장례식장(064-744-4444)
□ 발 인 : 2022. 9. 8.(목) 오전 10시 ※장지 : 천왕사 납골당
□ 유 족 : 이용옥(妻), 2남 1녀(김병삼, 김병철, 김진희)
□ 주요경력
- 1987. 7월 국가무형문화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이수
- 1990. 10월 국가무형문화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전승교육사 인정
- 1993 대전엑스포 ‘제주의 날’ 공연 <대통령상>
- 1995. 6월 국가무형문화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보유자 인정
- 1998 4.3 50주년 희생자 위령제 / 해원상생굿 집전(2010년 까지)
- 1999~2012 탐라국 입춘굿놀이 (입춘굿) 집전
- 2009. 9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기념굿 외 다수
- 2012. 제주돌문화공원 <설문대할망제> 집전 /
세계자연보존총회 WCC 행사 공연 외 다수
- 2015. 일본 오끼나와 与那国島 朝鮮人 從軍慰安婦 慰靈祭 집전
- 2016. 설문대할망페스티벌-설문대할망전시 토신제 외 다수
- 2019.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시리즈 “위대한 유산 오늘과 만나다” 외 다수
- 2020. 세계유산문화축전 외 다수


※제주칠머리당영등굿(국가무형문화재 1980.11.17. 지정/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2009년 등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은 제주도에서 벌어지는 여러 당굿 가운데 하나로 제주시 건입동 칠머리당에서 매년 2월 열리는 민속의례이다. 당굿은 보통 마을을 보호하는 당신(當神)에게 기원하는데 영등굿은 당신(當神)이 아니라 영등신이 기원대상이다. 영등신이 들어오는 음력 2월 1일에는 ‘영등환영제’를, 영등신을 떠나보내기 전날인 2월 14일에는 ‘영등송별제’를 지내는데, 마을주민 뿐 아니라 제주시내의 어부와 해녀들이 참가하여 마을의 평안과 생업의 풍요를 기원한다. 제주칠머리당영등굿은 우리나라의 유일한 해녀의 굿이자 영등신에 대한 제주도 특유의 해녀신앙과 민속신앙이 담겨져 있는 굿으로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 당굿: 마을의 성소(聖所)인 당(堂)에서 마을을 보호하는 당신(堂神)에게 기원하는 의례
* 영등신: 영등할망이라고도 하며, 음력 2월 초하룻날 찾아와서 2월 15일경에 떠난다고
알려진 풍신(風神, 바람신)이며 풍농신(豐農神)을 지칭

  1946년에 태어난 김윤수 보유자는 제주도에서 ‘큰 심방(무당)’으로 널리 이름을 떨친 김정호의 증손자로, 조상 대대로 무당의 신분을 이어받아온 세습무 집안의 자손이다. 소년 시절 신병을 앓다가 16세 때부터 심방인 큰어머니와 함께 굿판을 다니면서 굿을 익혔고, 29세부터는 굿을 주재하면서 차츰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였다. 그는 안사인, 진부옥 등 제주지역의 큰 심방들과 활동하면서 심방의 자질을 키워나갔다. 1984년에는 칠머리당영등굿의 전수장학생으로 선정되었고, 1987년에는 이수자로, 1990년부터는 전승교육사로 활동하다가 마침내 1995년 제주칠머리당영등굿의 2대 보유자로 인정되어 다양한 활동을 이어나갔다. 또한, 제주칠머리당영등굿보존회의 회장으로서 정기공연, 전수교육 등 영등굿의 보전과 지속적 전승을 위하여 헌신하였다.
* 심방: 제주도에서 무당을 가리키는 무속용어


1 고(故) 김윤수_예능보유자(보존회장)_2022.jpg

< 고(故) 김윤수 보유자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무형문화재과 이동순 사무관(☎042-481-4968), 윤수경 주무관(☎042-481-4969)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