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전통 황포 돛단배 타고 바다로
등록일
2018-05-01
주관부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300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바람 따라, 물길 따라! 전통 돛단배 항해체험」운영 -


-‘문화가 있는 날’(5~10월 마지막 수요일),‘봄 여행주간’중 5.10.~11.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이귀영)는 사라져가는 우리 해양문화유산을 널리 알리고 국민과 함께 공유하고 체험하기 위한 「바람 따라, 물길 따라! 전통 돛단배 항해체험」 행사를 5~10월 문화가 있는 날(마지막 주 수요일)과 봄 여행주간 중 이틀(5.10.~11.) 동안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앞바다에서 개최한다.


  돛단배 항해체험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과거 옹기를 싣고 다니던 배를 복원해 지난 2010년 제작한 길이 17.9m, 폭 5.4m, 깊이 1.9m의 ‘봉황호’에 승선하여 항해하는 프로그램이다. 참가자들은 봉황호 선내관람, 황포 돛 올리기, 노 젓기, 치(‘키’의 옛말) 잡기 등을 직접 체험하면서 옛 사공들의 생활상을 경험할 수 있다.


  5월부터 시행되는 문화가 있는 날 행사에서는 1970~80년대 옹기배를 타고 서남해안 곳곳을 누볐던 정금석(68세), 권석주(70세) 사공이 직접 돛과 키를 잡아 전통 항해기술을 선보인다. 전통선박, 전통 항해술 등 우리 해양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모형 배 만들기, 전통 닻줄 만들기, 신명 나는 뱃노래 배우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꾸며진다.


  봄 여행 주간(4.28.~5.13.) 중 5월 10일과 11일에 펼쳐지는 행사는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전통항해체험을 중심으로 이뤄지며, 전통선박 선내 관람과 해설 안내, 황포 돛 올리기, 노 젓기, 치 잡기 등의 체험활동으로 진행된다.


  이 외에도 5월에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건조 중인 조선통신사선 재현 현장에서 톱과 끌, 망치 등으로 전통 조선기술을 체험하는 전통 배짓기 체험교실이 열린다. 또한, 6월부터 9월까지 목포 평화광장에서 해양소년단전남서부연맹과 함께 카누, 수상안전체험교실 등 해양레포츠 체험교실을 진행한다.


  전통 돛단배 항해체험 행사는 초‧중‧고등학생을 비롯한 일반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매월 1일부터 10일까지 전화(☎061-270-2089) 또는 전자우편(wonchun@korea.kr)을 통해 신청(회당 12명 선착순)하면 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seamuse.go.kr) 안내문을 참고하면 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전통 돛단배 항해체험 행사를 통해 참가자들이 옛 사공과 함께 돛단배를 타고 바다를 누비며 우리 선조들의 항해 문화를 느낄 수 있기를 바란다. 앞으로도 책임연구기관으로서 더 많은 국민이 해양문화유산의 가치를 공감하고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운영할 계획이다.


image

<돛을 펼쳐 항해하는 봉황호>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해양유물연구과 김병근 연구관(☎061-270-2082), 강원춘 연구사(☎061-270-2089)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