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문화재청, 흰개미 지역별 전수조사 후 긴급 방제 시행
등록일
2013-11-18
주관부서
안전기준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180

- 목조문화재 갉아먹는 흰개미, 민관 협업으로 대응 -


  문화재청은 올해 3월부터 8월 말까지 제주ㆍ전남ㆍ전북지역 등 목조문화재 지역 88개소에 대한 전수조사를 시행하여 피해가 발견된 문화재에 대하여 긴급 방제 대책을 수립하였다.

 

  이번 지역별 전수조사 결과, 지정문화재에 흰개미 서식 여부가 확인된 ‘부산 범어사 대웅전’ 등 6건 12동에 대해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에 긴급보수비를 지원하여 방제를 시행하도록 하였고, 그 외 방제가 필요한 문화재와 그 주변 지역 54건 255동에 대해서는 군체 제거시스템, 토양처리, 방충․방부처리 등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문화재청 산하 국립문화재연구소와 삼성생명탐지견센터가 합동으로 2011년부터 지역별로 실시하고 있는 ‘흰개미 피해 전수조사’는 흰개미 탐지견과 과학적인 탐지장비 등을 이용하여 목조문화재 흰개미 피해와 서식 여부를 조사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6개월간 총 13,140km를 이동하며 해당 지역의 지정문화재에 대한 피해 여부를 과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와 긴급방제조치는 문화유산 3.0의 민관 간, 또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업 체계를 효과적으로 적용한 사례로서, 문화재청은 민간기업의 전문성을 지정문화재 보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조사에 따른 피해 문화재 목록을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공유함으로써 추가적인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였다.


  우리나라 흰개미탐지견은 2003년에 처음으로 육성을 시작하였고, 문화재 현장에서 탐지견의 발달한 후각이 탐지의 절대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서울, 부산, 경남, 인천, 경기, 강원지역의 목조문화재에 대하여 전수조사를 시행할 계획이다.



붙임 1. 사진 자료.

        2. 2013년 목조문화재 흰개미피해 전수조사결과 방제대상 현황.  끝.


<흰개미 피해조사>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안전기준과 이명선 사무관(☎042-481-4821)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