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덕수궁 석조전 내부, 원형 그대로 잘 남아
등록일
2010-02-02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429

- 내부 벽체 철거하자 건립 당시 개구부 위치 등 원래모습 드러내 -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덕수궁(사적 제124호) 내에 있는 석조전의 내부 원형복원공사 중 건물 내부 벽체에서 건립 당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실별 규모와  벽체 위치,  아치형 개구부(開口部)1) 위치와 형태, 벽난로와 연도(煙道)2)의 위치 등이 발견되어 고종황제가 사용하였던 당시의 집무실 등을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할 수 있게 되었다.


  석조전은 고종황제의 처소와 집무실로 건립된 서양식 근대건축물로 1900년에 착공하여 1909년에 완공하고 1919년까지 대한제국의 정궁으로 사용됐으나, 1933년부터 이왕가 미술관, 미소공동위원회 사무실, 국립중앙박물관, 궁중유물전시관 등으로 사용되면서 내부 모습이 크게 변형되었다.


  문화재청에서는 변형된 석조전을 관계전문가의 의견과 고증자료를 근거원형대로 복원하고 가구 등 당시 생활상을 재현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공사에   착수하였으며, 2012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현재 3층 내부 철거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석조전은 복원이 완료되면 대한제국의 역사를 알리고 교육하는 ‘대한제국 역사관’(가칭)으로 활용하고, 고종황제의 처소와 집무실을 당시의 모습으로 보여줌으로써 대한제국의 역사성을 회복하여 민족문화의 자긍심 함양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담당자 : 이재서, 최길섭

연락처 : 042-481-4777, 4778
 


1) 채광, 환기, 통풍, 출입을 위하여 벽을 치지 않은 창이나 문을 통틀어 이르는 말

2) 연기가 빠져나가는 통로
 
                                                                     
석조전 전경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