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발품팔아 쓴 한ㆍ일 전통 건축물 비교 해설서
등록일
2009-12-23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090

- 「사진으로 풀어본 한ㆍ일 전통 건축」출간 -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에 재직 중인 김성도 시설사무관은 『사진으로 풀어본 한ㆍ일 전통 건축』이라는 제목으로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전통 건축의 특성과 용어 등을 알기 쉽게 풀이한 해설서를 집필·출간했다.


  전통 건축에는 문화와 역사, 사람들의 삶과 지혜, 그리고 건립 당시의 기술과 철학 및 사상 등 한 국가의 문화와 역사가 총체적으로 녹아있다.


  이 책은 전통 건축이 지닌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한국과 일본의 전통 건축을 대상으로 930여 컷의 도판 자료를 통해 기단, 초석, 기둥, 창호, 벽체, 공포, 지붕 등 건축의 입면 요소별로 양국의 건축적 특성과 차이점, 용어 등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게 풀어서 해설했다.


 특히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전통 건축을 함께 다룬 해설서가 부족한 상황에서 두 나라 전통 건축을 알고자 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내용과 정확한 지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의 의의가 있다.


  김성도 사무관은 고려대학교에서 한국건축사 분야를 전공(학사?석사?박사)하고 한국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2002년부터 2년간 일본 니혼대학교(Nihon Univ.)에서 해외 포스트닥(Post Doc.) 과정을 수행하면서 범위를 넓혀 일본 전통 건축에 대해서도 연구하여 논문 등에 발표해 왔다. 이때 일본 전통 건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 인문학 분야에 대한 기초 연구와 더불어 일본 건축 용어에 대하여 종합 정리하였으며 오랜 기간 동안 국내ㆍ외 건축문화유산 현지답사를 통해 사진자료를 수집해 왔다. 현재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에 근무하면서 등록 및 사적(근대건축) 문화재에 대한 등록?지정, 조사, 현상변경, 기술지도 등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주말에 개인 시간을 이용하여 틈틈이 관련 자료를 정리하여 본서를 발간하였다.


담당자 : 고정주

연락처 : 042-481-4885
    
                                           
                                          
「사진으로 풀어본 한ㆍ일 전통 건축」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