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푸진 굿, 푸진 삶 ‘임실필봉농악’따라 배우기
등록일
2009-09-17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917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수원(원장 임덕수)은 오는 9월 22일(화) 충남 부여 소재 전통문화연수원에서 “임실필봉농악(중요무형문화재 제11-마호)” 시연과 함께 관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번 과정은 지난 6월부터 시작한 “안숙선 소리인생 50년”, “진주검무”, “하회별신굿 탈놀이”에 이어진 전통문화아카데미과정 중 하나로, ‘소리, 몸짓으로 한국문화를 대표하다’라는 주제로 마련되었다.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양진성이 ‘임실필봉농악’을 시연하고 관객이 이를 따라서 배워보는 내용으로 진행된다.

보유자 양진성은 필봉 굿의 큰 상쇠였던 아버지 故양순용의 대를 잇고 있으며 소리공연과 놀이를 통한 어울림 체험의 필봉농악을 보여 줄 예정이다.


  필봉농악은 전북 임실군 강진면 필봉마을에서 전승되어온 호남좌도 농악의 대표적인 풍물 굿이다. 필봉 굿에서만 볼 수 있는 가락적 특징으로 채굿가락, 호허굿가락, 영산굿, 도둑잽이굿, 수박치기, 싸잽이굿 등이 있고, 앞굿 중심이 강한 다른 지방의 농악에 비해서 뒤굿 중심 또는 놀이 중심에 치중한다.


  필봉 굿의 종류에는 마당밟이에서 연희되는 문굿, 샘굿, 마당굿 등이 있다. 화려한 판 굿은 임실필봉 농악에서 가장예술성이 뛰어나는 것으로 꼽히는데 길굿, 칠채굿 호허굿, 풍류굿, 미지기영산, 가진영산, 다드래기영산, 노래굿, 수박치기, 등지기, 군영놀이, 도둑잽이, 탈머리, 대동굿의 순서로 진행된다.


  

  필봉농악대는 징과 북의 수가 적고 꽹과리, 장고에 치중하며 잡색(雜色)이 많이 편성되어 있고, 농악을 통해 이웃 간의 소중함을 배우며 개개인의 기교보다 단체의 화합과 단결을 중요하게 여기는 전통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전통문화연수원은 이어서 10월에는 ‘강릉 단오제’, 11월에는 ‘구례향제줄풍류’ 등 소리, 몸짓으로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명인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한다.

 이번 ‘소리 몸짓 한국문화를 대표하다’ 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한국전통문화학교 학생과 부여, 공주, 서천, 논산 등 백제문화권 시민들이 우리의 예능분야 전통문화를 배우고 체험해 볼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문화연수원은 전통문화 전문가 양성을 위해 설립된 전문교육기관으로 문화재 담당공무원 및 관련분야 종사자, 전통문화 기예능인에 대한 재교육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을 해오고 있다.


담당자 : 이재순

연락처 : 041-830-7822
 


    < 임실필봉농악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