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新 자산어보를 찾아서
등록일
2009-07-06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516

- 해양문화재연구소 어촌민속 전시실 개편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성낙준)는 상설전시실 “어촌민속실”을 개편하여 2009년 7월 7일(화)부터 새롭게 문을 연다. 개편한 어촌민속실은 국민들에게 황금어장 서해의 해양민속 문화를 보다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꾸몄다.

 

 전시 주제는 “新 자산어보를 찾아서”로, 200여 년 전 조선의 실학자가 바라본 서해의 해양문화와 물고기 이야기를 담았다. 전시 구성은 자산어보를 찾아서, 풍요로운 자연유산 ‘바다’, 홍어와 홍어장수, 낙지와 갯벌, 조기와 파시, 해녀와 전복, 소금과 젓갈, 섬사람들의 삶·노래·축제 등으로 나누었다. 또한, 주제에 따라 다양한 어로도구, 어촌민속품, 물고기 음식모형, 고기잡이영상, 3D물고기 영상 등으로 생동감을 살렸다.

 

 먼저, ‘자산어보를 찾아서’에서는 정약전이 자산어보를 저술하게 된 사연을 소개하고, 조선시대 실학자들이 쓴 물고기 사전 <자산어보(玆山魚譜)>,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 <난호어목지(蘭湖漁牧志)>를 소개하였으며, ‘풍요로운 자연유산  바다’에서는 조선시대 회화 속의 전통 고기잡이와 어로도구를, ‘홍어와 홍어장수’에서는 정약전과 홍어장수 문순득이야기, 홍어의 습성과 다양한 이름, 전라도의 삭힌 홍어 문화 등을 다양한 민속품들과 함께 소개했다.

 

 ‘낙지와 갯벌’, ‘조기와 파시’, ‘전복과 해녀’, ‘소금과 갯벌’, ‘섬사람들의 삶·노래·축제’에서는 서남해에서 이뤄졌던 전통 어로활동과 해양민속의 특징을 흥미롭게 전시했다.

 

 어촌민속실 개편은 황금어장 “서해”의 특징적인 민속문화와 물고기를 중심으로, 새로운 해양민속 자료를 소개하고 현대적인 디자인과 전시기법으로 연출함으로써 쾌적한 관람환경을 만들었다. 보다 많은 관람객이 생생한 해양문화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담당자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전시홍보과 박예리

전화번호 : 061-270-2044    

                  자산어보

              홍어잡이 어로도구(홍어 주낙)



            낙지잡이 어로도구(낙지 삽)

                     서해안 풍어제 띠배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