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동의보감” 등 중요문화재 6건 보물 지정예고
등록일
2008-06-27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948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27일 “동의보감(東醫寶鑑)” 및 “영천 은해사 순치 3년명 금고(永川銀海寺順治3年銘 金鼓)”,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安東普光寺木造觀音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瑞山文殊寺金銅如來坐像腹藏遺物)”, “청자 양각 연판문 접시(靑磁陽刻蓮瓣文?匙)” 등 총 5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예고하고, ‘영주 가흥리 마애여래좌상’을 보물 제221호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에 추가 지정 예고하였다. “동의보감”은 허준(許浚) 등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서들을 모아 집성하고 또 임상의학적 체험을 통한 치료방을 모아 놓은 한의학의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책이다. 1613년에 내의원목활자본으로 간행된 이 책은 모두 25권 25책으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이 현재 보물 제1085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번에 지정 예고하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25권 25책) 및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24권 24책, 17권 17책)과 동일판본이다. 국내에 남아있는 동의보감 초간본(목활자본)은 전본이 드물어 희소성이 있으며 한국의학사와 임난 이후 도서출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영천 은해사 순치 3년명 금고”는 규모가 크고, 장식성이 농후하며 표현수법이 섬세하여 예술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1646년 수도사(修道寺) 금고로 만들어졌다는 명문을 지니고 있어 17세기 전반기 금고의 면모를 알려주는 의미 있는 자료로 평가된다.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중 목조관음보살좌상은 13세기 전반기에 조성된 보살상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이 시기의 보살상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점에서 그 자료적 가치는 매우 높다. 보살상 안에서는 10종 194점에 이르는 복장유물이 함께 발견되어 주목된다. 이 중에는 1007년 총지사(摠持寺)에서 간행한 목판의 원형을 살필 수 있는 ‘보협인다라니경(寶?印陀羅尼經)’ 등 고려시대의 전적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전하는 예가 매우 드문 고려시대의 저고리도 한 점 발견되었다.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은 충남 유형문화재 제34호 “문수사 금동여래좌상”(현재는 도난 상태)에서 수습된 복장유물 일괄로, 경전·다라니 등의 인쇄자료와 발원문 및 물목을 기재한 필사자료 등 다양한 전적류와 함께, 고려말에 제작된 복식〔답호〕과 각종 직물류 및 팔엽통(八葉筒) 등의 유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복장유물은 국어학, 서지학, 불교사, 미술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학술적으로 의미 있는 자료임과 동시에 문화재적 가치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해강도자박물관 소장 “청자 양각 연판문 접시”는 12세기경 강진 사당리요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기형·문양·유색 및 전체적인 제작수법이 매우 뛰어난 작품으로 고려 시대 청자 접시의 진수를 보여준다. 이와 함께 보물 제221호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이 조성된 암반의 일부가 2003년 집중호우로 붕괴되면서 새롭게 발견된 “영주 가흥리 마애불좌상”은 기존에 지정된 마애삼존불과 같은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통일신라 불교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어 추가 지정하고 기존의 삼존불에 추가하여 보물 제221호의 지정명칭을 “영주 가흥동 마애삼존불 및 마애여래좌상”으로 변경하여 지정예고 하였다. 아울러, 보물 제931호 “조선태조왕이성계상(朝鮮太祖王李成桂像)”의 지정명칭을 “조선태조어진(朝鮮太祖御眞)”으로 변경예고 하였다. [SET_FILE]1[/SET_FILE]
1-1. 동의보감(장서각)
<1-1. 동의보감(장서각)>


1-2. 동의보감(규장각소장)
<1-2. 동의보감(규장각소장)>


2. 영천 은해사 순치 3년명 금고
<2. 영천 은해사 순치 3년명 금고>


3-1.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전경
<3-1.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전경>


4-1.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가야산문수사당주발원문)
<4-1.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가야산문수사당주발원문)>


5. 청자양각연판문접시
<5. 청자양각연판문접시>


6-1. 영주가흥리마애삼존불상 신발견마애불상1
<6-1. 영주가흥리마애삼존불상 신발견마애불상1>
담당자 : 동산문화재과 이은석, 박수희 연락처 : 042-481-4914/4920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