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봉화 청량산(奉化 淸凉山)」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
등록일
2007-03-13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6572
문화재청(청장 兪弘濬)은 13일,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소재 「봉화 청량산(奉化 淸凉山)」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봉화 청량산」은 낙동강 가에 우뚝 자리 잡은 명산으로 자연경관이 수려하여 예로부터 소금강이라고 전하여 왔으며, 조선후기 실학자 이중환이 「택리지」에서 백두대간의 8개 명산 외에 대간을 벗어난 4대 명산 중 하나로 평가할 만큼 한국의 대표적 명산으로 알려져 있다. 청량산은 해발 800m 내외에 12개 암봉(六六峰 : 장인봉, 선학봉, 자란봉, 자소봉, 탁필봉, 연적봉, 연화봉, 향로봉, 경일봉, 탁립봉, 금탑봉, 축융봉)과 최치원이 글을 읽었다는 독서대를 비롯한 청량산 12대(어풍대, 밀성대, 풍혈대, 학소대, 금강대, 원효대, 반야대, 만월대, 자비대, 청풍대, 송풍대, 의상대), 청량산 8굴(김생굴, 금강굴, 원효굴, 의상굴, 반야굴, 방장굴, 고운굴, 감생굴) 및 청량산 4우물(총명수, 청량약수, 감로수, 김생폭)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보여준다. 청량산에는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역암, 사암, 이암층이 융기·풍화·차별침식 등의 작용으로 다양한 지형이 나타나고 있는데, 봉우리들은 모두 역암으로 이루어져 저각도 수평층리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V자곡이 발달된 계곡 주변엔 소규모의 수직·수평절리에 의한 풍화혈과 타모니 등이 발달하여 특별한 경관을 보여줄 뿐 아니라 학술적 가치 또한 뛰어나다. 또한, 고려말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안동 몽진 시 머무르며 축조하였다는 산성 흔적과 마을 주민들이 공민왕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사당이 남아 있으며, 원효, 의상, 김생, 최치원, 이황 등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장소와 설화들이 많이 남아 있는 등 이 곳은 불교의 도량으로, 그리고 16세기 사림파의 등장 이후 산수경치를 사랑하고 유교와 퇴계를 숭상하는 선비들의 유교적 순례지가 되어 왔다. 청량산 육육봉(六六峰)을 아나니 나와 백구(白鷗) 백구야 훤사(喧辭)하랴 못 믿을손 도화(桃花)로다. 도화야 떠지지마라 어주자(漁舟子) 알까하노라 - 퇴계 이황의 청량산가(淸凉山歌) - 「봉화 청량산」은 이렇듯 역사적 유래가 깊은 명산일 뿐 아니라 공민왕을 기리는 당제가 아직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등 민속적 가치가 크고, 자연경관이 매우 뛰어난 경승지로 평가되어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봉화군과 협의하여 국민이 함께 향유할 수 있는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예산 지원을 통한 복원 정비 등 체계적인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문화재 개요 ≫ ㅇ 지정명칭 : 봉화 청량산(奉化 淸凉山) ㅇ 지정종별 : 명 승 ㅇ 소 재 지 : 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산 74번지 외 ㅇ 지정면적 : 186필지 / 4,090,322㎡ ㅇ 관리단체 : 봉화군(봉화군수), 진성이씨상계파종중 붙임 : 현황 사진 자료 1부.
청량산 전경
<청량산 전경>
[SET_FILE]1[/SET_FILE] [SET_FILE]2[/SET_FILE] 담당자 : 천연기념물과 강흔모, 이근영 전화번호 : 042-481-4989, 4993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