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북관대첩비 복제비 제막식 및 학술강연회 개최
등록일
2006-04-24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9311




  지난 3월1일 북한으로 인도된 북관대첩비를 그대로 재현한 복제비가 경복궁 안에 새로 세워진다.   문화재청은 북관대첩비 복제비 제막식을 의병장의 문중 후손과 관련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고궁박물관 앞뜰에서 오는 4월 25일 오후 2시에 거행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또 북관대첩비 복제비 제막식과 함께 북관대첩비의 역사 · 학술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한 ‘북관대첩비 학술강연회’를 이날 제막식이 끝난 뒤 국립고궁박물관 대강당에서 개최한다.   이번에 세워진 복제비는 반환된 북관대첩비의 정밀 실측결과를 토대로, 관계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2005년 12월에 제작에 들어가 4개월 만에 완성되었으며, 전통 석공예 장인(경기도 지정 석장 이재순/ 전통석조각 장인 이재영)에 의해 직접 조각되었다.   비의 전체 높이는 2.75m이고 석재는 원래의 비신과 색상이 유사하고 강도가 강하며 보존력이 높은 충남 보령 웅천산 애석을 사용했으며, 머릿돌 및 받침돌은 황해도 해주산 화강석을 사용하였다.   한편 학술강연회에서는 ‘북관대첩비의 찬자(撰者)와 내용에 대한 소고(허권수 경상대 교수) ’임진왜란 중 정문부를 중심으로 한 함경도 지방의 항전‘(이상훈 국립진주박물관 학예연구관)’ ‘북관대첩비 관련 일본사료의 검토’(정태섭 동국대 교수) 등에 대한 주제가 발표돼 북관대첩비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학문적 접근이 시도될 것으로 보인다.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 당시 북평사 정문부가 이끄는 의병들이 함경도 길주 등지에서 왜장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군대를 격파한 북관대첩을 기념하기 위해 숙종 34년(1708)에 함경도 길주에 건립된 비로, 1905년 러일전쟁 당시 일본군에 의해 강탈되었다가 100년만인 2005년 10월 20일에 우리나라에 반환되었으며, 올해 3월 1일 북한에 인도되었다. ※ 첨부 [SET_FILE]1[/SET_FILE] 담당자 : 문화재교류과 이종희 연락처 : 042-481-4734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