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문화재종합병원 건립 본격화 -문화재의 과학적 보존복원· 진단 치료능력 배양-
등록일
2006-02-10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0911




문화재청은 올해 예산에 문화재종합병원 시설공사비로 20억원을 반영해 본격적인 건립에 들어간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3월 대전시 유성구 문지동 국립문화재연구소 인접해 있는 2만4천500㎡를 21억원 들여 문화재종합병원 부지로 매입하고, 올해 시설공사비로 20억원을 확보해 본격적인 건립에 들어가기로 한 것이다. 또 문화재연구소 13명이 근무하고 있는 보존과학실외에 5명의 정원이 확보된 복원기술연구실을 마련했으며, 앞으로 금속 석재 벽화류 등을 복원 수리할 무기유물실, 목재와 직물 서화류 등을 복원할 유기유물실, 그리고 모형복원실 등을 신설하고, 첨단 복원센터도 구축할 계획이다. 문화재종합병원이 설립되면 체계적인 문화재진료복원시스템이 갖춰져 「사후약방문식 문화재 보존」에서 「예방 보존정책」으로 문화재 복원 및 수리정책이 획기적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문화재의 전문적 과학적 보존처리 능력향상은 물론 보존 · 복원 처리비용 절감 및 우수 전문인력 양성효과도 클 것으로 보인다. 현재 0.3%인 문화재 연간 보존처리율이 50%이상으로 확대 될 것으로 보이며, 치료기관 부족으로 평균 5년이상 대기하던 문화재 치료시간도 획기적으로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또 보존처리 진료대상도 현행 출토유물의 복원위주에서 모든 유형의 문화재에 대한 보존처리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복원기술 및 복원재료 연구개발 등으로 통한 고부가가치창출, 보존과학 기술양성 활성화 및 수입대체를 통한 비용절감의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종합병원이 설립되면 보존처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연간 이익이 198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문화재 복원기술 및 재료시장 확대 등으로 일자리 창출 효과도 클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관리가 잘 되지 않아 멸실 우려가 있는 약 18만점의 개인소장 비지정 문화재의 사전 예방적 보존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첨부자료 : 문화재종합병원 설립계획 [SET_FILE]1[/SET_FILE][SET_FILE]2[/SET_FILE] 담당자 : 문화재연구소 유재은 연락처 : 042-860-9341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