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慶州 南山에서 佛頭 新發見
등록일
2005-10-31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2572

- 새갓곡 3사지 석불좌상 머리 찾아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 윤근일)는 경주 남산 새갓곡에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불두가 새로이 발견되었다는 제보를 받고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새갓곡 제3사지 석불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 열암곡 석불좌상)과 합체되는 불두임을 확인하였다. 이 불두는 임희숙씨(경주남산연구소 회원)와 배만수씨가 지난 10월 23일(일) 남산 새갓곡 일대를 답사하던 중 새갓곡 석불좌상의 아래쪽 37m지점에서 불두로 보이는 석재를 발견하고 경주시 문화재과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발견문화재로 신고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발견 당시 불두는 나발이 표현된 뒷머리 일부가 바위틈에 노출되어 있었으며 호상은 땅바닥을 향하고 있었다. 불두의 크기는 잔존높이 62㎝, 너비 41㎝, 목지름 33cm로 코와 왼쪽 턱 일부, 목 뒷쪽 일부가 결실된 상태였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팀은 불두(佛頭)가 목없는 불신(佛身)과 합체를 이루는지 석고로 모형틀을 2차례 제작하여 부착해 본 결과 깨어진 부분이 일치하였으며, 암석의 광물산출상태는 흑운모가 많이 함유된 전형적인 남산화강암(알카리화강암)으로 불두와 불신이 동일 개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주대학교 임영애 교수(불교조각사 전공)는 ‘경주 남산에 많은 수의 석불이 남겨져 있지만 불두까지 온전히 갖추고 있는 예는 많지 않은데, 새갓곡 제3사지 석불좌상은 전체적인 비례가 당당함을 잃지 않은 8세기 후반의 빼어난 작품으로, 주변에 흩어져 있는 광배 및 대좌 편들과 더불어 새로이 불두까지 발견됨으로써 이제 완전한 불상이 되었다.’ 고 그 의미를 밝혔다.
[새갓곡 제3사지 불상 현상태]
<[새갓곡 제3사지 불상 현상태]>


[새로이 발견된 불두]
<[새로이 발견된 불두]>
※ 이 자료는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www.gcp.go.kr)에서 찾아보실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담당 : 정민호 ☏ 054-777-8871, 011-9760-6485)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윤형원 연락처 : 054-777-8805, archeo1@ocp.go.kr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