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85년 만에 세계유산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발굴 추진
등록일
2024-06-12
주관부서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53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고령군과 발굴조사 협력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6.12, 고령군청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황인호)는 고령군과 6월 12일 오전 11시 고령군청에서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발굴조사를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한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대가야(大加耶)의 최고 지배층의 무덤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난해 9월 가야문화권의 6개 고분군과 함께 「가야고분군」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가야고분군」: 한반도에 존재했던 고대 문명 ‘가야’를 대표하는 7개 고분군으로 이루어진 연속유산(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고령 지산동 고분군, 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이번에 발굴조사를 추진하는 고령 지산동 5호분은 영·호남지역 가야 고분 중에서도 최대급(지름 45m, 높이 11.9m)에 해당하며, 조선 시대에 간행된 지리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 ‘금림왕릉(錦林王陵)’이라고 전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인 1939년 아리미쓰 교이치[有光敎一], 사이토 다다시[齊蕂忠]에 의해 발굴조사가 실시되었으나, 간략한 조사내용과 조사하는 모습, 출토유물이 담긴 사진 몇 장만이 전해지고 있다.
* 금림왕: 대가야 또는 반파국(伴跛國)의 왕으로 역사서에는 등장하지 않고,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만 등장함.

이번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85년 만에 다시 실시되는 이번 발굴조사는 2026년까지 봉토와 매장주체부, 무덤 주변부에 대한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2028년에는 조사내용과 출토유물을 수록한 발굴조사보고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발굴조사와 함께 토목공학적 분석, 각종 유기물 분석 등을 실시하여, 관련 기록이 적어 베일에 싸여 있던 대가야의 고분축조 기술과 매장 의례 등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매장주체부: 무덤 주인공의 시신과 껴묻거리를 묻은 시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앞으로도 국내외 다양한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고령 지산동 고분군을 비롯한 대구·경북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그 성과를 지속적으로 국민에게 알려 나갈 계획이다.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원경(고령군 제공)

< 고령 지산동 고분군 5호분 원경(고령군 제공)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최장미 연구관(☎054-622-1701), 정인태 연구사(☎054-622-1715)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