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범종/형形 · 색色 · 감感』
등록일
2007-03-26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6983

- 『2006 중요동산문화재(범종) 기록화사업 결과보고서』발간 -


문화재청(청장 兪弘濬)은 국가와 시·도에서 지정한 ‘범종’을 대상으로 기록화 사업을 추진하고, 1차 조사 결과로서 범종 16점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고서로 발간하였다. 이번 범종 보고서《범종:형·색·감》은 그간에 이루어진 조사·연구와 달리 범종이 갖는 다양한 측면을 동시에 기록하고자 시도한 것으로서 범종에 관한 종합적인 기록화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범종에 대한 기록화 사업은 문화재청의 최근 사업 경향을 잘 보여준다. 문화재청이 근래 추진하는 사업 특징 중 하나가 문화재의 원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기록화 노력과, 여기에 첨단 기술을 대거 투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중 장비 및 프로그램의 발달을 기반으로 하는 3D 스캔 기술은 구축 데이터의 높은 활용성과 보존성에서 단연 으뜸이라고 하겠다. 3D 기술을 활용한 문화재 기록화는 대상의 외형적 특징을 정확히 포착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 기술을 이용한 기록화 사업, 특히 동산문화재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화 사업을 추진하면서 기록화 사업의 방향성과 목표를 뚜렷하게 설정한 후 설정된 대상 문화재의 특성을 제대로 확보하기 위한 종합적인 기록화 설계의 필요성도 함께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은 2006년도부터 실시하는 기록화 사업부터는 기록화 대상을 특정 문화재로 정해 집중하고, 그 문화재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포착하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으며, 그 첫 시도가 국가나 시·도가 지정한 ‘지정 범종’에 대한 기록화 사업이다. 범종은 불교문화권의 공통된 문화유산이기도 하지만, 특히 우리나라 범종Korean Bell은 형태와 소리가 중국이나 일본의 그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독자성을 인정받고 있는 우리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범종이 전래되는 대부분이 사찰로서 자연적인 훼손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그 원천 정보의 획득이 시급한 이유도 있겠으나, 한국 범종의 문화사적 지위에 비해 범종에 관한 자료는 지극히 빈약할 뿐만 아니라 접근 분야 또한 미술사 중심이라 자료의 편중도 심하다. 중요동산문화재(범종) 기록화 사업으로 명명된 범종 기록화는 올해부터 4년간 국가(국보·보물)와 시·도(유형문화재)에서 지정한 전체 범종(2007.3 현재 73점)에 대하여 정확한 형태적 특징과 함께 주조기술을 밝힐 수 있는 재질분석과 비파괴검사, 표면 문양의 미감 등을 종합적으로 기록할 계획이다. 이번 보고서에는 2006년 조사한 16점의 범종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각각의 범종은 전문 작가를 통해 촬영하고, 3D 스캔, Υ-ray를 이용한 비파괴검사, 방사선 발생장치를 이용한 재질(성분) 분석, 탁본을 일률적으로 시행하였으며, 그 전체 결과가 이번 보고서에 수록되어 있다. 특히, 3D스캔 데이터의 경우 CAD·CAM 데이터를 함께 구축하였다. 이번 보고서 발간이 우리 범종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범종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촉발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로, 이번 보고서에는 범종 안팎을 두루 살펴 수록하였으며, 그 외부 형태정보와 내부 주조 정보뿐만 아니라 조각의 아름다운 미감(味感)까지도 담고자 하였으므로 그 이름을《범종:형(形)·색(色)·감(感)》이라 하였다. 보고서는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전문을 볼 수 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cha.go.kr)-(초기화면)문화재청-자료마당-발간자료-동산문화재-보고서(클릭). 붙임 : 보고서 사진(표지) 1부. 끝. [SET_FILE]1[/SET_FILE]
담당자 : 동산문화재과 정금호, 임형진 전화번호 : 042-481-4912, 4914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