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서울 인근 야산에서 천연기념물 제197호 크낙새 발견
등록일
2019-05-03
주관부서
천연기념물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7121

- 1980년대 자취를 감춘 이후 30여 년 만의 첫 발견, 조사 착수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서울 인근 야산에서 천연기념물 제197호 크낙새가 발견되었다는 시민 제보를 받고 조사에 착수했다.


  시민 정현모씨는 3일 서울 인근 야산을 산책 중 크낙새로 추정되는 새를 발견하고, 사진과 함께 문화재청에 제보하였다. 제보한 사진에 따르면, 크낙새의 주요 특징인 검은 색 몸통에 배 부분이 흰색을 띄고 있는 등 크낙새 암컷의 모습과 유사하다. 이에 문화재청은 해당 지역에 크낙새가 서식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제보 접수 즉시 관계 전문가를 파견하여 현황 조사에 착수하였다.


  현장 조사는 우선 육안조사와 플레이백 조사(Playback method: 같은 종의 소리를 들려줌으로써 반응·서식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의 조사) 등의 방법으로 추진하며, 필요하면 무인카메라를 설치하여 지속해서 점검(모니터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크낙새는 딱따구리의 일종으로, 북한에서는 ‘클락 클락’ 운다고 해서 클락새로 부른다. 암수 모두 몸길이는 약 46㎝ 정도이고, 배와 허리는 흰색, 나머지 부분은 검은색이나, 수컷은 머리 꼭대기와 부리 옆의 무늬가 붉은색인 것이 특징이다. 백두산 이남에만 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아 1968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으나, 1980년대 이후 자취를 감추고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 참고로, 경기도 남양주시의 광릉 크낙새 서식지는 1962년 천연기념물 제11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청은 작년부터 북한지역의 크낙새 서식실태 남북 공동 조사·연구를 위한 협의를 추진하고 있으며, 금번 조사로 서울 인근에서 크낙새 서식이 확인될 경우 멸종위기에 처한 크낙새 복원 사업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mage

<서울 인근 야산에서 발견된 크낙새로 추정되는 새>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천연기념물과 이달희 사무관(☎042-481-4992), 신용운 주무관(☎042-481-4985)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