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덕수궁에서 만나는 전통회화의 미래
등록일
2015-04-28
주관부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304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재학생 전통회화 작품 전시 / 5.1.~10. 덕수궁 석조전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김재열)는 오는 5월 1일부터 10일까지 열리는 제1회 궁중문화축전 행사의 하나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재학생들의 작품전 ‘5대 궁 이야기(宮 프로젝트)’에 출품된 전통회화를 덕수궁 석조전에서 선보인다.

  품격 높은 조선 시대 궁중문화의 정수를 만날 수 있는 궁중문화축전을 맞아 기획된 이번 전시회에서는 ▲ 조선 시대 비운의 왕인 순종을 전통인물화 기법으로 표현한 ‘순종 어진’ ▲ 고종이 염원했던 대한제국을 불교의 극락정토와 접목한 ‘덕수궁 만다라’ ▲ 고종 즉위 40년을 기리고 황제권을 강화하고자 덕수궁에서 진연(進宴, 궁중잔치)을 베푸는 모습을 담은 병풍을 본떠 그린 ‘임인진연도병(壬寅進宴圖屛)’ ▲ 대한제국의 대표적 서양식 건물인 석조전의 화려함을 표현한 ‘석조전’ 등 창덕궁과 덕수궁에 얽힌 이야기를 소재로 한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5대 궁 이야기(宮 프로젝트)’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회화 전공(지도 권지은 교수) 4학년 재학생들이 전통회화 기법과 재료를 토대로 궁의 역사와 장소, 인물 등을 현대적 감성에 맞게 풀어내는 기획전으로, 2014년 ‘창덕궁을 깨우다’를 시작으로 2015년 ‘덕수궁을 기억하다’ 등 2차례의 전시회를 통해 전통회화의 대중화를 이끌어내고 전통예술의 생생한 전승과 계승을 보여 주는 등 좋은 반응을 얻어내었다.

  젊은 예비 전통회화 작가들이 참신한 시각으로 궁을 재해석한 작품을 접할 수 있는 이번 전시는, 궁에 대한 성찰과 관심을 환기시키고 전통회화가 국민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는 자리이다. 아울러 전통 기법을 근간으로 하는 창작 작업을 통해 전통회화의 미래를 엿보고 전통회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다함께 생각하고 고민해보는 시간도 될 것이다.

  한편, ‘5대 궁 이야기(宮 프로젝트)‘는 창덕궁과 덕수궁에 이어 2016년에는 창경궁을 주제로 국민들을 찾아갈 계획이다. 5대 궁에 대한 전시가 마무리되면 각 지역의 문화재에 담긴 이야기를 다양한 전통회화 작품으로 풀어내는 프로젝트도 기획되어 있어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문화발전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덕수궁 만다라>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무과 유 철 사무관(☎041-830-717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권지은 교수(☎041-830-7309)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