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자전거로 떠나는 문화재 여행_고창군]
등록일
2011-08-05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759

 

 

 

 

13. 세계 최대 고인돌군 - 고창

 

 

고창은 작은 지역이지만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 불릴 정도로 볼거리가 다양하고 4월부터 11월까지 지역 축제도 많다. 선사시대의 흔적을 탐방열차를 타고 둘러볼 수 있는 고인돌 공원과 경사가 완만하며 산책하기 좋게 잘 단장된 고창읍성은 최근 가족 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판소리를 집대성한 신재효 고택, 판소리 박물관 등이 있어 판소리의 성지이기도 하다. 나무들도 꽃이 된다고 할 만큼 단풍이 유명한 선운사. 경내 소장된 15점의 보물, 유형문화재, 문화재자료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동백나무 숲, 수령 600년 이상의 장사송, 송악도 놓치면 아까운 명승이다.

 

 

 

 

 

13-1 노선 살펴보기

 

 

고창시외버스터미널을 출발하여 고인돌군을 돌아오는 코스로, 거의 모든 구간이 평탄하고 차량통행도 한산한 편이다.
고창천을 따라 고인돌군까지 가는 길은 대부분 농로이지만, 지석묘군 1Km전부터 비포장도로가 시작된다. 현재 고인돌박물관과 지석묘군 구간이 도로포장공사 중이지만 자전거나 보행자는 무리 없이 통행 할 수 있다. 박물관에서 고창읍까지 돌아가는 구간에 고창IC를 지나게 되는데 이 부근만 잠시 차량통행이 많을 뿐 그 외에는 비교적 한가하다.
고창읍내사거리로부터 고창읍성까지는 일방통행이지만, 보도 구분이 없고 차선 양쪽으로 주차된 차량이 많아 주의해야 한다. 고창읍성 부근은 관광버스의 불법주차로 중앙선을 넘어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특히 조심하자.

 

 

 

 

13-2 사진으로 보는 문화유적지

 

 

◎ 고창읍성

 

서산의 해미읍성, 순천의 낙안읍성과 더불어 조선시대 3대읍성이라 칭해지는 고창읍성은 옛지명 모양부리현에서 비롯하여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한다.

성벽은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으며 성벽에 전북, 전남, 제주의 각 고을에서 책임 구역을 정해 합동으로 축조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조선시대의 읍성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주초와 문짝을 달던 홈이 파인 누문(樓門)이 있어, 평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성문, 보은의 삼년산성이나 강화읍성 등의 양식과 비교하여 성곽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호남 대륙 방어의 중요한 기지이기도 했던 고창읍성에는 독특한 풍습이 있다. 여자들이 머리에 손바닥만한 돌을 이고 성을 한 바퀴 돌면 다리 병이 낫고, 두 바퀴 돌면 무병장수하며, 세 바퀴 돌면 극락승천한다는 전설 때문에 매년 답성놀이를 하는 인파들로 붐빈다. 사적 제145호

 

이용시간은 따로 없으며 관람료는 성인 1000원, 청소년 600원, 어린이 400원이다.


 

◎ 고창 신재효 고택

 

판소리 이론가이면서 판소리를 집대성한 신재효의 집으로 중요민속자료 제39호로 지정되어 있다.
1850년 집을 지어 말년까지 살면서 종래 계통없이 불려오던 광대소리를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가루지기타령, 토끼타령, 적벽가 등 여섯 마당으로 정리한 곳이다. 중요 민속자료로 지정되기 전까지는 고창 경찰서의 부속 건물로 사용되기도 했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사랑채로 초가집이다.

 

 

고창판소리박물관

 

 

판소리에 관한 유·무형 자료를 수집, 보존, 조사, 연구, 전시 등을 통해 일반 대중에게 수준 높은 판소리 예술의 재교육과 감상의 기회를 제공한다.
9시부터 18시까지 관람가능하고, 폐관 30분전까지는 입장해야 한다. 1월 1일과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성인은 800원, 청소년은 500원의 입장료가 있다.


 

 

◎ 고인돌박물관과 죽림리 고인돌군

 

지석묘란 선사시대 무덤양식의 하나로 흔히 고인돌이라고 한다.
고창 지석묘군은 청동기에 조성된 동양 최대의 고인돌 집단 군락지로 매산 마을을 중심으로 약 1,700m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이 지역에서 고인돌은 447기가 조사되었으며, 파괴되어 매몰된 108기까지 550여기가 확인되었다. 또 탁자식, 지상석곽식, 바둑판식 등 다양한 형태의 고인돌이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어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자료이다. 사적 제391호이자 2000년 등재된 세계문화유산이다.
고인돌박물관이 있어 각종 유물 및 생활상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전시하고 있다.

 

고인돌박물관은 9시~18시까지 관람 가능하고, 관람 종료시간 1시간 전까지 입장할 수 있다. 동절기(11월~2월)에는 9시~17시까지 이용가능하다. 1월 1일과 매주 월요일에 휴관한다.

 


◎ 고창 오거리 당산

 

마을 다섯 곳에 위치한 당산으로 중요민속자료 제14호이다. 처음에는 모두 자연석이었으나, 풍수지리설에 따라 중앙과 남·서방향 당산은 기둥모양으로 다듬었다. 벙거지모양의 갓을 쓴 미륵 당산이라고도 불리는 중앙동 할아버지 당산, 굵은 동아줄이 감겨있는 중거리 할아버지 당산, 제일 키가 큰(645㎝) 하거리 할아버지 당산이 그것이다. 이들이 쓰고 있는 갓모양을 본 떠 '삿갓비석', '갓당산'이라도 한다.
돌기둥에 새겨진 기록으로 보아 모두 같은 해인 1803년에 만들어졌는데 드물게도 연대가 분명하게 남아 있는 민속 신앙물이다.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 역할을 한다고 믿으며 돌에 신성함을 부여한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13-3 지도로 보는 고창군

 

 

* 이미지 사이즈가 커서 지면에서는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지도로 보는 고창군 이미지 파일은 아래부분에 파일로 첨부합니다 *

 

 

 

* 문화재청에서 발간한 [자전거로 떠나는 문화재 여행] 에서 발췌한 내용 입니다.
* 이글의 저작권은 문화재청에 있습니다.
* 사진과 글의 무단 전재나 복사를 금합니다.
* 문의_문화재청 대변인실 (042-481-4677)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