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통일신라 원지유적(苑池遺蹟)보고서 발간
등록일
2008-06-04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698

- 경주 황룡사지전시관 건립예정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에서는 지난 1999년 경주시 구황동 292번지 일대 황룡사지전시관 건립예정부지내에서 발굴조사된 통일신라의 원지유적(일명 구황동원지유적/九黃洞苑池遺蹟)에 대한 학술조사보고서를 발간하였다. 신라의 천년왕도였던 경주의 궁궐과 사찰, 귀족의 저택 등에는 당시에 많은 원지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까지 그 실체가 알려진 것으로는 안압지(雁鴨池)와 용강동원지(龍江洞苑池), 그리고 구황동원지가 전부이다. 구황동원지유적은 황룡사지(皇龍寺址)의 동북쪽, 분황사(芬皇寺)의 동쪽에 위치하며 보문호에서 서남쪽으로 흘러내리는 북천〔閼川〕이 서북쪽으로 곡류하는 지점의 남안에 위치한다. 유적의 전체면적은 16,170㎡로 1999년 5월 시굴조사를 거쳐 2004년3월까지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통일신라의 연못과 축대, 계단, 육각형건물지, 배수로 등이 발견되어 당시 고대사학계는 물론이고 전통조경 및 고건축학 분야에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경주 구황동원지유적은 호안(護岸)의 출입이 있는 말각방형의 평면형태에 돌출부와 2개의 섬을 가졌으며 크게 7세기중반으로 편년되는 1차 원지와 8세기 중반으로 편년되는 2차 원지로 구분된다. 1차 원지는 단조로운 호안석축의 바른 쌓기수법이 특징이며, 2차 원지는 호안이 복잡해지고 호안석축에 허튼층 쌓기수법이 채용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부석광장(敷石廣場)과 하층의 직각으로 여러 번 꺾인 ‘ㄹ'자형 수로, 원지와 인접한 축대위에 건립된 육각형 건물지 등은 다른 유적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특징적인 시설이다. 이러한 점에서 구황동원지유적은 기존에 이루어졌던 원지 관련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공하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조경이나 건축적인 측면 외에도 주변유적과의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신라왕경에 자리한 원지의 기능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로도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약 5년간의 유적 발굴조사와 4년간의 유물 정리 작업을 거쳐 이번에 발간하게 된 구황동 원지유적 발굴조사보고서에는 유적에 대한 자세한 발굴내용은 물론, 2천여 점의 출토유물에 대해서도 도면과 사진 등으로 보고서의 내용을 비교적 이해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발굴 조사된 원지유구 전체를 160여개의 구획(10m×10m)으로 나누어 이를 전산정보처리 한 대형도면으로 제작하여 관련 사진과 함께 편집한 정비자료집도 발간하였는데, 여기에는 국내ㆍ외의 다양한 원지유적에 대한 검토와 일본의 정비사례도 수록하여 향후 구황동 원지유적의 복원과 정비ㆍ활용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번 보고서를 계기로 국내외 학계에서 동아시아의 고대원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일반인과 학계의 관련 연구자들에게는 우리의 조경문화 연구의 필요성과 향후 보다 적극적인 학술조사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동 보고서는 국내외 문화재 관련 연구기관을 비롯하여 대학도서관과 박물관, 국공립 도서관 등에 배포되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의 홈페이지(www.gcp.go.kr)를 통하여 온라인상으로도 구황동원지유적에 관심이 높은 국민들이 그 내용을 손쉽게 볼 수 있도록 원문을 제공할 예정이다. 붙임 : 사진자료 [SET_FILE]1[/SET_FILE]
구황동원지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구황동원지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수막새 일괄
<수막새 일괄>


연못 전경(남에서)
<연못 전경(남에서)>


지진구 일괄
<지진구 일괄>
담당자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이주헌 전화번호 : 054-777-8805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