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새야! 유리창을 피해가렴
등록일
2009-12-10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140

- 버드 세이버(Bird Saver) 제작·배포 -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최근 증가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유리창 충돌 등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사)천연기념물동물유전자원은행과 공동으로 1)버드 세이버(Bird Saver)를 제작한다. 또한, 버드 세이버 3,500개를 국립공원과 한국조류보호협회, 동물치료소 등 민간단체에 배포하여 부착도록 할 계획이다.


  야생조류 조난 유형분석에 의하면 조난 조류 약 28%가 인공구조물과의 충돌로 발생했고, 그 중 대부분이 건물 유리창과의 충돌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충돌할 때 빠른 속도로 유리창에 부딪히기 때문에 충돌사고를 당한 개체는 77% 이상이 폐사한 것으로 2)보고되었다.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건물 유리창에 버드 세이버(Bird Saver)를 부착한 부산 낙동강하구에코센터 및 충남발전연구원 등에서 충돌사고가 많이 줄어든 점을 볼 때 버드 세이버(Bird Saver)의 부착 효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유리창은 빛을 투영시켜 건물 내부를 볼 수도 있지만, 오히려 주변의 하늘이나 숲, 나무 등을 비추는 등 빛의 반사각도에 따라 거울 역할을 할 수도 있으므로 주변을 지나던 조류가 유리에 비친 나무, 숲, 하늘을 실제 모습으로 착각하고 날아가다 충돌하는 것이다. 이번에 제작·배포하는 버드 세이버는 이러한 충돌을 예방하는데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담당자 : 김동하, 이안재

연락처 : 042-481-4981, 4983
 



1) 조류의 유리창 충돌을 예방하기 위해 고안된 맹금류(독수리, 매 등) 형상의 표면이 검게 인쇄된 스티커(탈,부착 가능)


2) 1998년부터 2005년까지 2,897 조난개체 중 803개체가 충돌사고로 발생, 한국 야생동물 조난원인 유형분석 / 김영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버드 세이버(Bird Saver)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전경(부착 사례)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