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익산 왕궁성 후원(後苑)과 제석사 가람 실체 드러나
등록일
2009-10-29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319

- 익산 왕궁리유적, 제석사지 발굴조사 자문회의 및 현장설명회 -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김용민)는 익산 왕궁리유적(사적 제408호) 및 제석사지(사적 제405호)에 대한 발굴조사 자문회의를 오는 10월 30일(금)에 발굴현장에서 개최한다.


  1989년부터 진행되어온 익산 왕궁리유적 발굴조사에서 올해는 북편 구릉지역 조사를 통해 백제시대 궁성 내부 후원(後苑)의 존재와 물길(曲水路), 보도시설(步道施設), 석축시설(石築施設) 및 건물터 등으로 구성된 내부 시설을 국내 최초로 확인했다.

 

  곡수로는 구불구불한 곡선 형태로 크게 두 줄기가 확인되었다. 그 중간에는 물을 저장하여 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네모난 집수시설(集水施設)이 만들어져 있다. 곡수로의 너비는 80~140㎝이고 단면은 바닥이 편평한 U자형인데, 현재까지 확인된 총 길이는 228m이다.


  중국 동진(東晉)시대부터 유행했고 일본 헤이죠큐(平城宮) 동원정원(東院庭園) 등에서 채택되었던 구불구불한 물길이 후원 공간에서 중심적인 요소로 확인됨으로써 동아시아 고대 원림의 조영 방식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가능해졌다.


  제석사지 2차 조사에서는 가람 배치가 기본적으로 사비기 백제의 사찰과 동일하며, 그 규모가 매우 컸음을 확인했다. 또한 목탑 등 기단 기초부의 특이한 조성 방식을 규명할 수 있었다.


  우선, 이미 확인된 목탑지, 금당지, 강당지 이외에 회랑지, 중문지, 동?서건물지가 확인되었다. 목탑지의 중심에서 동쪽으로 42.2m나 떨어진 지점에서 확인된 동회랑지의 폭은 7.8m로 그 폭이 6.8m인 미륵사지 회랑 등 지금까지 확인된 백제 사찰의 회랑 중 가장 넓다.


  또한, 목탑지와 금당지 사이의 서편에서 목탑과 규모와 축조수법이 동일한 방형 건물의 기초부(동서 21.5m, 남북 20.8m)가 새롭게 확인되어 제석사의 조성 및 변천양상을 밝히는데 새로운 단서를 제공했다. 건물 기초부는 정교하게 판축하였는데 목탑 기단 기초에서 보이는 달구질흔(고대 건물의 기초를 단단하게 다진 흔적)보다 훨씬 치밀하고 정교하다. 네 모서리에서는 목탑지에서와 마찬가지로 계단상의 작업 통로가 발견되었는데 작업이 끝난 후 이 부분도 판축을 정교하게 했다.


  금당 서편의 이 방형 건물은 목탑과 그 규모와 축조수법이 동일하기 때문에 목탑과 아주 유사한 성격의 건물로 추정되는데, 남북편에 금당이나 중문 등 가람으로 추정할 만한 별다른 건물이 없어 그 조성 배경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향후 제석사지의 성격 규명을 위해서는 사적 범위의 확대와 제석사가 불탄 후 그 잔해물을 버린 곳으로 추정되는 인근의 폐기장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담당자 : 김낙중, 전용호

연락처 : 041-833-0305



 
                                 
왕궁리유적 곡수로3과 수로시설1 접합지점

                                              제석사지 가람 배치도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