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굿도 보고 떡도 먹고”
등록일
2008-10-21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664

-산간지역과 해안지역의 굿과 음식에 관한 조사보고서,『巫 · 굿과 음식』발간-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그간 전국의 굿과 음식을 조사해 『巫 · 굿과 음식』(삼척 내미로리의 산메기와 병굿, 제주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을 발간하였다. 이 책은 지역의 연구자 3명과 전문사진작가가 현지답사를 하여 굿하는 전 과정과 음식을 쉬운 설명과 사진으로 세세히 기록했다. 『巫 · 굿과 음식』(삼척 내미로리의 산메기와 병굿, 제주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은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에 PDF파일로 게시되어 있으며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 http://www.nricp.go.kr/) 오른편의 '학술연구DB'→'무형문화재연구’→‘기타’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 말에 “굿도 보고 떡도 먹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굿도 굿이지만 굿판에 차려진 음식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음식을 만드는 이들은 굿하기 며칠 전부터 몸을 정갈하게 하고 재료를 엄선하여 정성껏 음식을 만든다. 이 음식은 신에게 바치는 음식이면서 굿판에 모인 사람들이 나누어 먹는 음식이기도 하다. 굿 음식에는 지역의 특색이 나타난다. 삼척 내미로리는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산간지역으로 이 지역 사람들은 산을 신앙의 대상으로 여기고 일년에 한번씩 날을 받아 마을사람 전체가 산에 올라가 굿을 한다. 이 굿을 산을 먹인다는 뜻에서 ‘산메기’라고 부른다. 산메기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음식은 시루떡과 군웅떡이다. 시루떡은 산신에게, 군웅떡은 마굿간을 지키는 신인 군웅에게 바치는 떡이다. 산메기 외에도 미친병이라고 불리는 정신병을 치료하는 굿인 병굿이 있다. 병자의 몸에 들어 있는 귀신을 꺼내어 예쁜 꽃술에 담고 꽃술을 땅에 묻으면 병자의 병이 낫는다고 믿었다. 산메기와 병굿을 통해 산간지역인 내미로리의 공동제의와 개인치병의례를 살펴볼 수 있다. 동김녕마을은 제주도의 해안지역으로서 여자들이 해산물채취로 생업을 삼는다. 사시사철 험한 바다는 이런 여자들은 일명 ‘해녀(海女)’로 불려지는 잠수(潛嫂)들에게 해산물을 채취하는 삶의 터전이면서 사지(死地)이기도 하다. 잠수굿은 일년에 한번 풍요로운 해산물의 채취와 자신들의 안전을 기원하는 굿이다.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은 제주도의 신들을 위한 굿, 용왕을 맞아들이는 굿, 동김녕마을의 수호신인 용왕의 막내아들의 위한 굿, 잠수들의 애환을 푸는 굿으로 이루어진다. 잠수들은 이 굿에서 흰쌀을 동그랗게 빚어 기름을 바른 떡인 돌레떡을 나눠 먹는다. 무당은 이 떡을 잠수들에게 팔고 잠수들의 운수와 안전을 기원해준다. ※ 이 보도자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립문화재연구소로 무형문화재연구실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 박대남 042)860-9233, e-mail chpdn@nricp.go.kr 변지선 042)860-9232, e-mail sisrin@nricp.go.kr 붙임 : 사진자료 [SET_FILE]1[/SET_FILE]
『巫 · 굿과 음식』표지
<『巫 · 굿과 음식』표지>


내미로리 산메기의 군웅떡
<내미로리 산메기의 군웅떡>


내미로리 산메기의 조상옷 입히기
<내미로리 산메기의 조상옷 입히기>


내미로리의 병굿
<내미로리의 병굿>


내미로리의 병굿에서 귀신을 잡아가두는 과정
<내미로리의 병굿에서 귀신을 잡아가두는 과정>


내미로리의 산메기
<내미로리의 산메기>


동김녕마을 잠수굿의 공싯상
<동김녕마을 잠수굿의 공싯상>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에 쓰는 돌레떡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에 쓰는 돌레떡>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에 쓰이는 고리동반떡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에 쓰이는 고리동반떡>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의 요왕맞이의 상차림
<동김녕마을의 잠수굿의 요왕맞이의 상차림>
담당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무형문화재연구실 박대남, 변지선 전화번호 : 042-860-9232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