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조선왕릉이 깨어난다
등록일
2009-06-16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284

-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Ⅰ)』 발간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조선왕조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 조선왕릉에 대한 조사내용을 수록한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Ⅰ)』를 발간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06년도부터 조선왕릉에 대한 종합조사를 연차적으로 실시했다.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Ⅰ)』은 이러한 내용을 정리한    첫 번째 결실로서, 조선시대 능제의 근간을 이룬 고려말 공민왕(恭愍王)과  노국공주(魯國公主)의 능인 현·정릉(玄·正陵)을 비롯하여 조선 초 태조의   건원릉(健元陵)에서 태종과 원경왕후(元敬王后)의 헌릉(獻陵)에 이르는 실측 및 사진자료를 수록한 연구보고서이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건원릉 등 6기의 능에 대해 각각 관련 석물에 대한 상세한 실측도면과 사진 등을 수록하여 왕릉에 대한 이해를 돕도록 하였으며, 역사, 조경, 미술사, 건축사, 민속학 등 학제 간의 연구를 통하여 종합적인  고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 더불어 의궤와 능지(陵誌) 등 관련 문헌에 대한 상세한 해제를 함께 수록하여 조선왕릉의 조성 과정과 이후 시대를  내려오면서 현재까지 그 원형을 보존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동 보고서에는 건원릉 신도비 탁본자료를 처음으로 공개했으며, 북한 개성지역에 자리하고 있는 고려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玄·正陵)을 비롯하여 조선 태조의 원비인 신의왕후(神懿王后)의 능인 제릉(齊陵), 정종 (定宗)과 정안왕후(定安王后)의 후릉(厚陵)에 대한 풍부한 사진자료를 수록하여 고려 및 조선왕릉을 연구하고 이해하는데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조선왕릉이 내포한 의미들을 분야별로 심도 있게 분석한 『조선왕릉-종합  학술조사보고서(Ⅰ)』의 발간은 조선왕릉이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눈앞에 두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매우 뜻 깊은 일이다.  

  

  앞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이러한 결과물들을 토대로 올 10월에는 조선왕릉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며, 동 보고서를 시작으로 주요 왕릉에 대한  조사보고서를 순차적으로 발간할 계획이다.

 

담당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문화재연구실 김지연, 박지영
전화번호 : 042-860-9195  

                               
사진1.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Ⅰ)
        
 
사진2. 태조(이성계) 건원릉의 전경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