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인천 옹진군 백령도와 소청도의 2개소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등록일
2009-09-24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149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인천시 옹진군의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와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를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했다.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는 장촌포구 서쪽해안 약 300m 지점인 용트림바건너편 해안절벽에 있으며, 크기는 높이 약 50m, 길이 약 80m이다. 이 습곡구조는 고생대 말~중생대 초의 지각변동으로 형성되었는데 지하 깊은 곳의 횡압력으로 변성, 변형작용을 받아 습곡과 단층이 이루어지고, 지각이 풍화, 침식되면서 서서히 융기되어 지금과 같은 지형을 이루게 된 것이다.


  이렇게 선명하게 드러난 큰 규모의 단층 및 습곡구조는 내륙지방에서는 매우드문 일로서,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한반도의 지각 발달사를 규명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는 백령도로부터 남쪽으로 약 14km 떨어져 있는 소청도의 남동쪽 약 500m 구간에 분포하고 있다.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란 바다나 호수 등에 서식하는 남조류나 남조박테리아 등의 군체들이 만든 엽층리가 잘 발달한 생퇴적구조(生堆積構造; organo-sedimentary structure)를 갖는 석회암 화석의 일종이다. 이는 전 지질시대에 걸쳐 나타나지만 특히, 고생대 이전인 선캄브리아누대(Precambrian Eon)의 고환경과 생명 탄생의 기원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학술적, 교육적 가치가 있다.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는 국내에서는 가장 오래된 화석(원생대 후기; 약 6억 내지 10억 년 전)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 모양도 아름다워 보존가치가 높다.

또한, 주변 일대는 분바위라고 부르는 백색의 결정질 석회암(대리암)이 해식작용으로 노출되어 있어 경관이 매우 수려하다.

  

 이번에 지정예고한「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와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는 30일간의 예고기간 동안 일반인, 관련학자, 지방자치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담당자 : 윤한정, 류시영

연락처 : 042-481-4990
 
                                             백령도 습곡구조 원경
 
                                                소청도 분바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