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 사적 지정예고
등록일
2007-10-26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341
문화재청(청장 兪弘濬)은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상북도 기념물 제93호『금성단(錦城壇)』을 국가지정문화재(사적)『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으로 지정하기 위하여 예고키로 했다고 밝혔다. 『금성대군신단』은 조선 세조(世祖)때 단종(端宗)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화를 당한 금성대군(세종의 여섯째 아들, 세조의 아우, 단종의 숙부)과 순흥 도호부사 이보흠(李甫欽) 및 순흥의 유향품관, 향리 등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영조 18년(1742년)에 설치한 제단이다. 『금성대군신단』은 크게 재실(齋室)·주사(廚舍) 영역과 제단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 위에는 품(品)자형으로 중앙에 금성대군, 하단 동측에 이보흠, 하단 서측에 순절의사들의 작은 단이 설치되어 있다. 위와 같이 금성대군신단은 단종 복위운동과 관련된 유적으로 18세기에 탕평정치의 움직임이 활성화됨에 따라 국왕에 대한 의리가 다시금 강조되는 정치적 분위기와 깊은 관련이 있는 문화재이다. 또한 단(壇)은 일반적으로 유교(儒敎)에서 제의를 거행하기 위한 시설 내지 건축물의 한 형태로서, 당대(當代) 왕조의 인신(人神)을 위한 제단은 극히 드문 사례로 당시의 정치적 분위기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문화재로 평가됨에 따라『금성대군신단』을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지정 예고키로 한 것이다. 이번에 지정 예고한 ?금성대군신단?은 30일간의 지정예고 기간동안 관계 학자, 토지소유자, 관할 지방자치단체 등이 제기하는 의견을 수렴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지정예고 개요≫ ㅇ 지정명칭 : 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 ㅇ 소 재 지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70번지 일원 ㅇ 지정면적 : 6필지 2,654㎡ ㅇ 관리단체 : 경상북도 영주시(영주시장) 붙임 : 사진자료 [SET_FILE]1[/SET_FILE]
금성대군 신단
<금성대군 신단>


금성단
<금성단>


금성대군 신단 비석
<금성대군 신단 비석>
담당자 : 사적과 곽수철, 김재길 전화번호 : 042-481-4841, 4842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