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자전거로 떠나는 문화재 여행_고양시]
등록일
2011-05-30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907

 

 

 

 

3. 왕과 왕비의 평온한 안식처 - 고양시

 

 

고양시는 세조가 아들 의경세자의 묘자리를 찾아 40여 일 동안 경기도 일대를 직접 돌아다닌 끝에 자리를 잡았을 만큼(서오릉 내 경릉) 풍수지리가 빼어난 곳이라 한다.
고양시는 삼국시대부터 중국 등과 교류하는 길목이었기에 삼국이 서로 차지하기 위하여 치열한 전쟁을 많이 한 곳이다. 이와 관련된 유적으로 고봉산성, 행주산성 등의 문화유적이 남이있어 당시 역사를 상상해 볼 수 있다. 고려 공양왕과 최영장군 부자의 무덤이 있어 고려왕조 멸망의 비운을 엿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벽제관이 설치되어 왕성에 출입하기 위한 준비를 하였던 곳이었고, 도성 100리 안에 왕릉을 마련해야 함에 따라 서오릉, 서삼릉 등이 조성되었다.

 

 

 

 

 

3-1 노선 살펴보기

 


예전부터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즐겨 찾는 장소인 서오릉을 비롯하여 서삼릉, 공양왕릉 등 수도권 서북부 지역의 문화유적을 연결하는 노선. 답사지역이 주로 능이지만 이용구간에서는 창릉천을 따라 이어지는 제방길을 비롯하여 농로, 마을길, 국도와 지방도 등 다양한 형태의 도로를 체험할 수 있다.
[구산역]에서 창릉교에 이르는 방도 363호선이나 [원당삼거리]에서 [원신동주민센터앞]까지의 일반국도 39호선 등은 속도가 빠른 차량이 많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추천노선 외에 각 명소로 갈 수 있는 간선 도로나 보조 간선도로가 있지만 가급적 우회하더라도 안전하고 지역 특색을 살펴보기 쉬운 마을길이나 농로 등 추천 노선 이용을 당부한다.

 

   

3-2 사진으로 보는 문화유적지

 


◎ 서오릉 

 

사적 제198호 서오릉은 5기의 왕릉으로 구성되어 동구릉 다음으로 큰 규모이다. 이 곳이 능 지역이 된 것은 세조3년(1457) 의경세자(덕종)가 사망하자 풍수지리설에 의해 경릉이 들어서면서부터이다. 이곳에는 5기의 능 이외에도 조선왕조 최초의 '원園'인 명종의 맏아들 순회세자와 공회빈 윤씨(세자빈)의 묘 순창원順昌園, 사도세자의 묘 수경원綬慶園, 숙종의 후궁으로 많은 역사적 일화를 남긴 희빈 장씨의 대빈묘大嬪墓가 있다.

 

▶ 경릉: 성종의 생부 추존왕 덕종과 소혜왕후의 능(단릉)

 

▶ 창릉: 8대 예종과 계비 안순왕후의 능(쌍릉)

 

▶ 명릉: 19대 숙종과 제1계비 인현왕후, 제2계비 인원왕후의 능(쌍릉)

 

▶ 익릉: 숙종의 원비 인경왕후의 능(단릉)

 

▶ 홍릉: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의 능(단릉)

 

 

관람시간 3월~10월 6시~18시 30분, 11월~2월 6시 30분~17시 30분. 입장은 관람종료시간 한 시간 전까지 가능. 매주 월요일 휴관. 관람료는 대인(19세~64세) 1,000원, 소인(7세~18세) 500원

 

 

◎ 고려 공양왕릉

 

고려 마지막 왕인 공양왕과 그의 부인 순비 노씨의 무덤이다. 공양왕은 이성계에 의하여 즉위한 이름뿐인 왕이었다. 재위 4년만에 고려의 멸망과 함께 폐위되었고, 강원도 삼척에서 두 아들과 함께 살해되었다. 무덤은 왕과 왕비의 쌍릉으로 고려의 전통적 양식과 함께 조선 초기 태조와 태종 무덤 양식과도 비슷하다.
특히 공양왕의 능은 강원도 삼척에도 한 기가 전해지는데(삼척공양왕릉 시도기념물 제71호) 봉분 4기 중 가장 남쪽에 있는 것이 공양왕릉, 2기는 왕자의 능, 나머지 한 기는 시녀 또는 말 무덤이라고 한다.  사적 제191호

 

 

◎ 서삼릉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의 능인 희릉과 인종과 부인 인서왕후의 능인 효릉이 들어서면서 왕실묘지가 된 곳이다. 이후 주변에 후궁이나 대군, 공주의 무덤이 조성되었고 철종과 그의 부인 철인왕후의 능인 예릉이 들어오면서 서삼릉이 되었다. 원래 왕릉에는 후궁, 왕자, 공주의 무덤은 만들 수가 없지만 일제시대에 멸망한 왕실의 무덤을 집중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모두 옮겨와 현재 경내에 3원과 46묘, 태실 54기가 있다. 사적 제200호


 

 

관람시간 3월~10월 9시~18시 30분, 11월~2월 9시~17시 30분. 입장은 관람종료시간 한 시간 전까지 가능. 매주 월요일 휴관
관람료는 대인 1,000원, 소인 500원 상시관람권과 시간제관람권은 별도 요금

 

 

 

 


 

◎ 월산대군묘

 

추존왕 덕종의 장남인 월산대군 이정의 묘이다. 봉분 앞에는 묘비와 상석, 문인석, 망주석, 장명등 등의 석조물이 배치되어있다. 뒤에 부인 순천 박씨의 봉분을 두고 있다.
이정은 일찍이 월산군에 봉해졌으며 문장이 뛰어나고 책을 좋아했다. 지금의 덕수궁은 월산대군의 옛 집이었으며 친 아우인 성종이 자주 대군의 집을 드나들며 집의 정자를 풍월정이라 이름붙이고 근체오언율시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능의 서쪽에 숙종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보이는 월산대군사당이 있다.

 

 

 

3-3 지도로 보는 고양시

 

 

 

* 이미지 사이즈가 커서 지면에서는 확인하기가 어렵습니다. 지도로 보는 고양시 이미지 파일은 아래부분에 파일로 첨부합니다 *

 

 

 

 

* 문화재청에서 발간한 [자전거로 떠나는 문화재 여행] 에서 발췌한 내용 입니다.
* 이글의 저작권은 문화재청에 있습니다.
* 사진과 글의 무단 전재나 복사를 금합니다.
* 문의_문화재청 대변인실 (042-481-4677)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