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전통문화 지킴이 양성의 요람 「한국전통문화학교」그들이 뛰고 있다.
등록일
2007-04-17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842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다. 그동안 경제논리에 부딪혀 문화는 뒷전으로 물리쳐진 지 오래다. 그러나 주변의 외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묵묵히 자기 갈 길을 가고 있는 젊은이들이 있다. 충남 부여에 있는 한국전통문화학교 젊은이들이 바로 그들이다. 우리 조상들의 얼과 혼을 계승·발전시키겠다는 일념으로 전국 각지에서 모여든 젊은이들이 쉬지 않고 가마에 불을 지핀 지 4월 19일이면 7주년을 맞이한다. 한국전통문화학교(총장 이종철)는 문화유산이 국가의 경쟁력이자 힘이 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시대적 요구를 기치로 우리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킬 주역들을 양성할 목적으로 설립한 국립 4년제 대학이다. 그동안 전통문화의 지킴이로서 열정을 가지고 폭넓은 이론과, 다양한 현장 실습교육을 통하여 노력한 결과가 조금씩 결실을 맺기 시작하였다. 까다롭기로 유명한 문화재수리기술자 시험에 2006년도 전체 합격자 중 23.3%를 차지하고, 준학예사 시험도 22.6%의 합격률을 자랑한다. 또한 문화재청 및 국립문화재연구소를 비롯하여 전국의 문화재 관련기관에도 서서히 자리 매김하고 있다.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작지만 강한 대학, 특성화 대학이라는 위상에 걸맞게오늘도 기숙사의 불빛은 꺼질 줄을 모른다. 그러나 아직도 대학원 설립, 우수교원 확보, 각종 실습기자재 및 실습장 확보, 전통문화연수원 개원, 서울 캠퍼스의 운영, 평생학습교육원 신설, 체육관 및 강당 건립 등 풀어가야 할 과제들이 많다. 한국전통문화학교는 특성화 대학으로서 면모를 갖추기 위하여 관련 부처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대학’ 명칭 사용, 대학원 설립 등 중장기 발전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여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열정을 밝혔다. 문화재에 대한 열정과 전통문화 전문인력 양성을 시작한 지 7년! 지난날의 수확보다 앞으로 발전을 기대해 본다. 붙임 1. 브리핑 자료 1부. 2. 졸업생 상세 진로현황 1부. [SET_FILE]1[/SET_FILE][SET_FILE]2[/SET_FILE][SET_FILE]3[/SET_FILE] 담당자 : 한국전통문화학교 총무과 이병돈 연락처 : 041-830-7220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