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40 ] 근대 교육시설의 전형
등록일
2009-01-12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100
-------------------------------------------------------------------------

★Quiz정답을 보내실때★

정답과 함께 *이름*연락처*주소*이메일 주소* 를 꼭~!꼭~!입력해 주세요~

다른 입력사항이 없으면 당첨이 안돼요..ㅠㅠ

*Quiz정답은

① 글아래 [메일보내기]버튼을 클릭~!

② 뉴스레터 하단에 [한줄의견]버튼을 클릭~! 해주세요^^

③ 참고로 퀴즈담당자 메일주소는 [chquiz@ocp.go.kr]입니다.

*Quiz 마감일은 매주 금요일입니다.

*당첨자는 다음호(문화재발견_117)에서 발표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0^

-------------------------------------------------------------------------



[center] ◆ 구 목포사범학교 본관 ◆





1. 등록번호 : 제239호(2006년 3월 2일 등록)

2. 소유자 : 교육인적자원부

3. 설계자 : 미상

4. 건립연도 : 1954년

5. 면적 : 건축면적 955㎡, 연면적 2,042㎡

6. 위치 : 전라남도 목포시 용해동 산43

7. 현 용도 : 교육시설

8. 구조 : 석조(지상2층)



이 건물은 현 목포대학교의 전신인 목포사범학교 본관으로 1950년 8월에 건립된 건물이다. 목포사범학교는 해방 다음해인 1946년 10월 31일에 개교하였고 이후 목포교육대학, 목포초급대학을 거쳐 1979년 3월 1일에 4년제 국립목포대학으로 승격되었다. 문화재로 등록된 건물이 있는 이곳은 큰 노송들이 많이 있어 송림(松林) 캠퍼스라고도 부르며 현재 음악과, 미술과 및 경영행정대학원, 사회교육원이 있다. 기타 대학본부 및 대부분의 대학은 무안군 청계면의 도림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다.



이 건물은 목포 시가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양을산 남쪽 기슭 아래쪽에 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현재 창호와 지붕재료의 교체, 그리고 1970년대로 여겨지는 건물 우측에 일부 수평으로 증축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건립 당시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어, 2006년 3월 2일 등록문화재 239호로 등록·관리하고 있다.



건물의 전체 형태는 중앙부분에 주 출입구를 둔‘ㅡ’자형 2층 석조건물이다. 또한 평면 및 입면이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어 균형감이 있고 아울러 석조건물다운 중후감도 갖고있다. 건물 평면은 정 중앙에 출입 홀이 있고 홀의 끝에 좌·우 복도를 두고 남쪽으로 원안대로 배치하였다. 출입 홀은 전면 벽체로부터 1.7m정도 앞쪽으로 돌출시켜 내부가 비교적 넓고(7×8m) 상부도 2층 부분까지 오픈시켜 개방감이 있도록 하였다. 현관 앞쪽 4.3m지점에 2개의 원형기둥을 세우고 지붕처리를 한 출입 캐노피를 두었다.





출입 홀 좌·우로는 각각 4 Bay 구조를 적용하여 1, 2층 모두에 각각 8개의 실(크기8.7×6.9m)을 두었다. 전면 모퉁이에는 방형으로 전면 벽체선에서 30㎝정도 돌출되게 굴뚝을 좌·우로 각각 4개씩 설치했다. 이 굴뚝은 지붕 위까지 돌출되어 있어 단조로운 건물 입면 구성에 한 몫을 하고 있다.



2층으로 오르는 계단실은 좌·우 맨 측면에 두었는데 폭이 4.15m로 상당히 넓다. 계단은 모두 24단인데 단 높이는 11~13㎝, 넓이는 27~31㎝로 요즘의 유치원 건물정도로 편안하다. 복도의 폭 역시 2.3m 정도로 최근에 짓는 학교의 중복도 정도로 매우 넓다.



벽체는 외부를 돌로 쌓았고 2층 바닥은 철근콘크리트보를 걸고 콘크리트 슬라브로 처리하였다. 보는 복도와 교실 모두에 헌치를 두어 구조적 안정성을 최대한 배려하였다. 보 간격은 약 2.3m로 매우 좁으며 복도 쪽은 중간에 하나씩을 줄여 4.6m간격으로 하였다.



외부 돌 쌓기는 총 22켜로 되어있는데 수직 줄눈은 일정하지는 않다. 석재는 목포 인근에서 채석한 밝은 회색 빛을 띄는 화강암 계열인데 강도가 강한 편은 아니다. 유사한 석재를 사용한 건물로는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등록문화재 제62호)과 목포 구 청년회관(등록문화재 제43호), 목포 양동교회(등록문화재 제114호) 등이 있으며 목포의 근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 건축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석재 표면은 거친 혹두기로 되어 있는데 많이 돌출된 부분은 10㎝ 정도가 된다.





한편 4번째 켜와 창문 상·하 인방은 잔다듬으로 처리하여 입면구성에 변화를 주었다. 돌의 크기는 높이가 37㎝이고 깊이는 30㎝이며 길이는 44㎝, 48㎝, 71㎝, 91㎝, 104㎝, 109㎝, 120㎝, 128㎝ 등 매우 다양하다. 줄눈 폭은 가로 및 세로 모두 2㎝ 정도다. 실의 창호는 각 Bay별로 1, 2층 모두에 95×232㎝ 크기의 목재 세로창을 4개씩 두었는데 현재는 같은 크기의 플라스틱 창호로 교체되어 있다. 지붕의 양측면은 우진각형으로 되어 있고 중앙 출입홀 상부는 앞쪽으로 박공면을 둔 경사가 급한 맞배형으로 처리하였다.



우측의 증축 부분은 증축 당시 1, 2층이 하나의 큰 교실(강당)이었던 것을 1980년경에 현재의 모습으로 다시 개수한 것이다. 즉 중앙에 폭 1.7m의 중복도를 두고 위 아래로 각각 4개씩의 작은 실(4.0×4.2m)을 두었다. 외부는 전면만 본 건물과 같은 석재로 거친 혹두기 마감을 하였고 후면은 4켜까지만 돌로 쌓고 그 상부는 시멘트몰탈 뿜칠로 처리하였다.



본 건물은 전체적으로 중앙부의 높은 박공지붕을 중심으로 균형감을 둔 좌·우 대칭 건물이다. 수직창과 굴뚝이 입면 구성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석재의 거친 혹두기 마감으로 당시 사범학교 교사용 건물로서의 중후감을 갖도록 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



* 우정디자인기획에서 발간한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Vol.2] 에서 발췌한 내용 입니다.

* 이글의 저작권은 문화재청에 있습니다.

* 사진과 글의 무단 전재나 복사를 금합니다.

* 문의_문화재청 대변인실 (042.481.4677)



-----------------------------------------------------------------------------------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