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무형문화유산 분야 조사 연구 결실 풍성
등록일
2006-03-21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0498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 예능민속연구실에서는 2005년 한 해 동안 중요무형문화재 기록화, 전통 기·예능 조사연구, 한국민속문헌집성, 분야별 민속종합조사연구 등의 주요 사업을 추진하면서 총 28권의 조사보고서 발간과 HD·Digi-Beta 등 10종목의 기록영화 제작, 경상도민요 음반 8장 출반 등 무형문화유산 분야에 대한 방대한 조사·연구 성과를 올렸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성과물은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센터 유치를 앞두고 커다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요무형문화재 기록영화제작사업은 1995년부터 추진해온 사업으로서 국가지정 무형문화재의 실연 전과정을 다큐멘터리 영상 및 기록도서로 제작 발간하여 자료의 영구보존 및 차세대 전승교육자료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사업의 영상물은 향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할 예정이며, 일본과 경쟁상태에 있는 아태무형문화센터 유치에 중요한 컨텐츠로 활용될 것이다.( 총 121건 중 90종목 완료)   전통 기·예능 조사연구 사업은 한국 기층문화의 마지막 전승세대인 7-80대 할아버지·할머니들이 살아 계실 때 우리 민족의 전통 기·예능(전통음악·무용·공예기술·의식·음식 등)을 조사연구, 기록보존하고자 추진해온 주요사업이다. 2002년부터 문화재청 주요사업으로 채택되어 현재까지 유교제례, 굿의식, 불교제례 등의 의식과 음식분야를 조사기록하였다.(유교제례 등 조사건수 41건, 조사보고서 11권)   한국민속문헌집성사업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민속관련 문헌자료를 발굴, 역주 간행하여 한국민속문헌자료를 집대성함으로써 현장민속조사에 머물고 있는 학문적 공백을 보완하고 민속연구에 있어 문헌민속학이란 새로운 방법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제공한 것이다. 문화재청 주요사업으로 채택되어 추진중에 있다.(조선시대 민속문헌 해제 등 조사보고서 8권 발간)   분야별 민속종합조사연구는 전승 단절·멸실위기에 있는 전통 생활문화에 대한 분야별·지역별 총체적 조사연구를 통하여 우리문화의 본질과 변화양상을 구명하는 사업으로서, 향후 조사자료의 원문정보 서비스 구축 및 향후 민속지도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2000-2003년까지 세시풍속 분야에 대한 1단계 사업으로 완료하고 2004년부터 민간신앙분야에 대한 2단계 조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세시풍속 9권, 민간신앙 1권, 무구 3권)   해외전적문화재조사연구는 해외로 유출된 전적문화재의 실태 파악과 상세한 서지학적 목록을 작성하고 귀중 자료에 대한 DB화 및 한국 전적 문화재 사이버 자료관을 구축하여 해외문화재 관리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 귀중 전적 자료를 학계에 제공하는 사업이다. 2005년에는 일본 존경각 및 카자흐스탄 국립도서관 등에 소재되어 있는 전적문화재 등을 조사하였고, 사이버 전적자료관(6500종)을 구축하여 대국민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그동안 일본 궁내청 등 5개국 14개소 8,873종에 대한 조사를 완료하고 조사목록을 간행하였다)   해외민속조사연구는 최근 국제적으로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추진 중인 사업으로, 역사적으로 우리 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중국의 민속에 대한 현지조사 사업이다. 2003년부터 실시된 조사는 광서성의 요족마을에 대한 민속조사(2003)를 시작으로, 호남성 토가족의 제사예능(2004), 귀주성 토가족의 제사예능(2005)을 조사하였으며, 관련 영상 및 사진 자료 등은 중국의 기층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 외에도 무형유산컨텐츠 구축의 일환으로 연구소 소장 희귀 국악자료를 음반(CD)으로 제작하여 무형문화재의 기록보존과 학술연구자료로 활용하고 있다.(현재까지 38종 90CD 제작)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ㅇ 중요무형문화재 기록영상물제작에서 HD 고화질로 촬영을 시범적으로 실시하여 기록물의 영구보존성을 향상시켰고, ㅇ 조사보고서 발간의 전문성 및 질적 향상을 높이고 일반인들의 도서보급을 확대하기 위하여 조사보고서의 위탁출판 비율을 대폭 늘려 년간 1억원 이상의 예산을 절감 하였다. ㅇ 무형유산의 조사 연구분야를 민속문헌까지 대폭 확대하여 그야말로 무형문화유산분야의 종합적인 조사연구의 기틀을 마련한 점이다.   금년도에는 2005년도 조사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하여, ㅇ 중요무형문화재 기록영화를 전종목 HD로 제작, ㅇ 비지정 무형문화재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와 ㅇ 민속문헌조사연구 및 무형유산컨텐츠 구축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ㅇ 해외전적조사는 일본 오따니 대학에 있는 현존본 가운데 가장 완벽한 고려대장경판본을 조사하고, 마이크로 필림으로 복제 및 DB화 하여 해인사 고려대장경판의 보판제작 등 보존관리의 기본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ㅇ 한국민속문헌집성사업은 독일의 함부르크 민속박물관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사라진 우리민족의 기초자료를 확보할 예정이다. ※ 첨부[SET_FILE]1[/SET_FILE]   [SET_FILE]2[/SET_FILE]   [SET_FILE]3[/SET_FILE]   [SET_FILE]4[/SET_FILE]   [SET_FILE]5[/SET_FILE]   [SET_FILE]6[/SET_FILE]   [SET_FILE]7[/SET_FILE]   [SET_FILE]8[/SET_FILE]   [SET_FILE]9[/SET_FILE]   [SET_FILE]10[/SET_FILE] 담당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예능민속연구실 박상국 연락처 : 042-860-9230, psk1028@nricp.go.kr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