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특별전“사천왕사(四天王寺)” 개최
등록일
2009-05-25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341

- 5.26 ~ 8.23, 국립경주박물관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와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5월 26일(화)부터 8월 23일(일)까지 경주 지역의 최신 발굴 성과를 알리기 위한 첫 번째 전시인 특별전 ‘사천왕사’를 개최한다.


  사천왕사(四天王寺)는 문무왕(文武王) 10년(670) 당나라 군사의 침입을 막고자명랑법사(明朗法師)가 문두루비법(文豆婁秘法, 일종의 밀교의식으로 불단을 설치하고 다라니 등을 독송하면 국가의 재난을 물리칠 수 있다는 비법)을 행한 곳으로서 문무왕 19년(679)에 완성되었다. 사천왕사는 통일신라 내내 가장 으뜸가는 절의 지위를 누렸으며, 고려와 조선까지도 변함없이 중요한 사찰로 여겨졌다. 특히 고려 문종(文宗) 28년(1074)에는 고려를 침입한 여진을 물리치고자 사천왕사에서 문두루도량(文豆婁道場)을 27일간 베풀기도 하였다. 조선 태종 때는 경주의 자복사(資福寺), 즉 경주의 복을 빌어주는 절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이유를 알 수   없지만 언젠가 폐사되어 버렸다.


  사천왕사터에 대한 발굴조사는 일제강점기 이후 간간이 이루어지는 하였지만, 2006년부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 조사 결과 금당과 회랑을 잇는 익랑(翼廊)을 새롭게  확인하였고, 목탑의 기단부 및 하부구조 그리고 녹유사천왕상전1)의 배치 상태 등을 밝혔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사천왕사의 역사와 관련 인물, 그리고 사천왕사 조사의  어제와 오늘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와 더불어 그동안 일반에 공개하지 않던   기와, 전, 토기, 금속 제품 등 사천왕사터 출토품을 망라하여 전시한다.

 

  전시품 가운데 녹유사천왕상(綠釉四天王像)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널리 알려진 것 외에도, 여러 기관에 흩어져 있던 녹유사천왕상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새로 발굴한 녹유사천왕상을 모두 모아 전시한다. 특히 일제강점기와 최근에 발굴된 사천왕상 조각들을 70여 년 만에 복원하여 사천왕상의 온전한 모습을 감상할 수 있는 좋은 자리가 될 것이다.


□ 특별전 개요

 ㅇ 기  간 : 2009. 5. 26(화) ~ 8. 23(일) [매주 월요일 휴관]

 ㅇ 장  소 :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시관

 ㅇ 관람료 : 무료


1) 이 상의 명칭 및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다. ‘사천왕상(四天王像)’으로 보는 견해와 ‘신중상(神衆像)’, 또는 ‘신왕상(神王像)’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데, 정확한 존명(尊名)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하여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담당자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박종익, 최장미
전화번호 :
054-777-8805



경주 사천왕사터
<경주 사천왕사터>

사천왕사 목탑지 녹유사천왕상 출토 모습(2008)
<사천왕사 목탑지 녹유사천왕상 출토 모습(2008)>


녹유사천왕상
<녹유사천왕상>
전시 포스터
<전시포스터>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