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옛 사공의 숨결을 느끼며 전통 돛단배 항해에 오르다!
등록일
2015-06-11
주관부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747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돛단배 체험행사 진행 / 6~10월‘문화가 있는 날’-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문화가 있는 날’을 기념하여 「옛 사공의 숨결을 느껴보는 돛단배 체험」행사를 6월부터 10월까지 매월 마지막 수요일 오후 1시 30분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앞바다에서 개최한다.

 

  돛단배 체험 행사는 사라져 가는 전통 항해기술의 전승·보존 현장을 국민들과 함께 공유하고 해양 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번 행사에서는 1960년대부터 30여 년 동안 옹기배를 타고 서남해안 곳곳을 누볐던 신연호(83세), 권석주(68세) 사공이 키를 직접 잡고 능숙한 솜씨를 선보인다.
 
  이날 항해할 ‘봉황호’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2010년 복원한 옹기배이다. 길이 20m, 너비 5.4m, 깊이 1.9m 크기의 세 개의 돛이 달린 약 19톤급 목선으로, 옹기를 실을 수 있는 넓은 공간을 갖추고 있다. 옹기배는 1980년대까지 진도·완도 등 서남해안의 여러 섬과 여수, 부산, 제주에 이르기까지 필수 생활품인 항아리, 단지, 동이 등 옹기를 실어 나르면서 서민들과 삶의 애환을 함께하였다.

 

  참가자들은 출항 전 무사안전을 기원하며 행해졌던 뱃고사를 재현한 출항의례를 비롯하여 돛 올리기, 노 젓기, 치(‘키’의 옛말) 잡기, 매듭 묶기 등 다양한 항해 체험활동을 통해 뱃사람들의 생활상을 경험해 볼 수 있다. 또한, 전통 선박과 전통 항해술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전통선박의 종류․구조․특징, 바람의 종류와 항해술, 우리나라의 바닷길, 옹기배의 구조, 옹기의 특성과 제작방법 등 이론강의도 함께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매월 1~10일 초․중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회당 15명을 선착순으로 접수하며, 전화(☎061-270-2089) 또는 전자우편(danegu@hanmail.net)으로 신청하면 된다.

 

  이번 행사는 엔진이나 전기 장치 등 현대식 장비의 힘을 빌리지 않고, 사공이 이끄는 옹기배에 몸을 싣고 바다를 체험하면서 우리 해양문화유산의 진수를 느껴볼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이 될 것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해양 문화유산의 조사와 연구는 물론, 국민과 함께하는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 해양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존‧활용해 나가도록 노력할 것이다.

<봉황호>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곽유석 연구관(☎061-270-2082) 또는 강원춘 주무관(☎061-270-2089)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