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신들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네 가옥
등록일
2008-10-24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665

- 전남, 전북지역 가정신앙 보고서 발간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봉건)는 집안의 안녕을 기원하며 각 가정에서 행하는 전통적인 민간신앙과 의례를 기록한 『한국의 가정신앙』전라남도 편과 전라북도 편(2권)을 발간하였다. 『한국의 가정신앙』은 전국 각 지역에서 전승되는 전통적 가정신앙을 조사, 기록한 현지조사 보고서로, 이번에 발간된 2권의 보고서에는 전남북지역 36개 시·군을 답사하면서 수집한 가정신앙의 전승현황과 현장사진 등 생생한 자료들이 실려 있다. 유교식 제사의례가 남성 위주로 전승되었다면, 가정신앙의 신앙의례는 부녀자들을 중심으로 전승되었다. 가정신앙의 소망은 가정과 가족에게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예상하여 평온과 안녕을 기원하는 소박한 소망에 불과하지만, 우리의 삶과 밀착되어 있으며 일상적이라는 점에서 가정 절실한 소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절실함은 전남북 지역의 가정신앙에서도 잘 드러난다. 이 지역 가정신앙의 특징으로는 철륭(집터를 관장하는 신)에 대한 조사를 들 수 있는데, 대체로 산 밑에 집터를 잡았거나 집터가 센 곳, 집 뒤에 큰 나무나 바위가 있는 집에서 철륭을 모신다고 한다. 철륭의 성격은 지신(地神)과 유사하지만 가정에 따라서는 장광(장독대)과 동일하게 여기기도 한다. 그 밖에 이번 보고서에는 그 해 난 올벼로 밥을 지어 성주와 조상 등에게 바치고 그 밥을 집안 식구들이 먹는 올벼심리와 매월 초사흘에 장사를 하는 집에서 지내는 초사흘 고사, 전남 해안가 지역에서 김이 잘 되기를 기원하며 지내는 해제 등 이 지역 가정신앙의 실체와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실려 있다. 현재 가정신앙은 점점 약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다. 이처럼 가정신앙이 약화되는 원인으로는 가옥 구조의 변경이나 종교적인 이유로 인한 신체의 소멸, 시어머니에게서 며느리로의 세대간 전승단절 등을 들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번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조사연구는 전국적으로 한국의 가정신앙을 살펴볼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고 할 수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40여 명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가정신앙 조사를 전국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경기·강원·충북·충남·경북·경남·제주·전남·전북 등 지역별 보고서 총 9권을 발간하였다. 가정신앙 보고서는 기초 자료가 부족한 이 분야 연구에 풍부한 학술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며, 집이 재테크 수단으로만 인식되는 현재의 상황에서 집에 대한 우리의 전통적 사고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조사에 참여한 연구자 및 관련 학자가 참여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그 간의 연구 성과를 되짚어 보고 학문적으로 분석 정리하는 계기로 삼을 계획이다. * 발간된 조사 보고서의 원문은 국립문화재연구소 홈페이지(http://www.nrich.go.kr)를 통해서 볼 수 있다. 붙임 : 사진자료 7부. [SET_FILE]1[/SET_FILE]
동정부적 책(전남 영암군 시종면 월롱리)
<동정부적 책(전남 영암군 시종면 월롱리)>


무속인을 찾아온 병자에게 잔밥을 먹이는 모습
<무속인을 찾아온 병자에게 잔밥을 먹이는 모습>


성주대(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갈산마을)
<성주대(전남 해남군 송지면 송호리 갈산마을)>


잔밥을 먹인 다음 한쪽 쌀이 줄어있는 모습(전남 무안군)
<잔밥을 먹인 다음 한쪽 쌀이 줄어있는 모습(전남 무안군)>


조상단지(전남 강진군 옴천면 영산리)
<조상단지(전남 강진군 옴천면 영산리)>


조왕그릇(전남 함평군 손불면 대전리)
<조왕그릇(전남 함평군 손불면 대전리)>


칠성을 위하는 모습(전북 순창군 유등면 창신리)
<칠성을 위하는 모습(전북 순창군 유등면 창신리)>
담당자 : 국립문화재연구소 무형문화재연구실 박대남, 이채원 전화번호 : 042-860-9242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