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무형유산 보호 아·태지역 전문가 자문회의 개최
등록일
2005-12-06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11548




문화재청(청장 유홍준)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사무총장 이삼열)와 공동으로 2005. 12. 8(목)~10(토)까지 서울 타워호텔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지역전문가 자문회의를 개최한다. 「아·태지역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협력 강화 전략」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지역자문회의에는 무형문화유산 관련 국내·외 전문가 17인이 참여하여 “무형유산 보호와 아태지역의 특성”, “무형유산 분야 지역사업의 우선순위와 추진전략”, “무형유산 지역협력체계 강화”의 3가지 소주제에 대하여 주제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특히 제3 주제인 무형유산 지역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토론에서는 아태지역 무형유산 보호센터의 한국 내 설치 가능성 및 전략에 대하여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회의에는 Amareswar Galla ICOM 부위원장, Ralph Regenvanu 전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걸작 심사위원 그리고 유네스코 방콕 및 베이징 사무소 담당관 등 7명의 무형유산 관련 전문가가 참여하여 무형유산 보호와 관련한 최근의 국제적 동향과 각 국가의 제도적 특징과 내용 등을 발표할 계획으로 있어 향후 우리나라의 무형유산 보호 제도의 발전 및 개선방안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는 종묘제례 및 제례악(2001년), 판소리(2003년), 강릉단오제(2005년) 등 3개의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세계무형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1993년 유네스코에 인간문화재제도(Living Human Treasures) 도입을 제안하는 등 유네스코 차원의 국제적 무형유산 보호 운동 전개에 큰 기여를 하였다. 또한 유네스코에 아리랑상을 제정하여 각국의 무형유산 보호 우수사례를 선정, 매 2년마다 시상하고 있는 등 무형유산 분야에서는 국제사회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 오고 있다. 문화재청은 그 동안의 무형유산 보존분야에서의 국제적 역량과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의 선진적인 제도와 노하우를 아·태지역 국가에 전수하고 유네스코와 협력하여 소멸·변형의 위기에 처한 아태지역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지역센터의 한국 설치를 추진할 계획이다. 아태지역(특히 동남아시아 지역)은 수많은 국가와 민족이 밀집되어 있는 무형유산의 보고임에도 산업화·도시화 등 정주환경의 변화로 그 원형이 급격하게 변형·소멸되어 가고 있어 유네스코는 우리나라의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지역센터의 설치 의지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 이번 지역자문회의는 아태지역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지역 내 국가들의 협력 방안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지역센터의 설치 필요성, 기능, 운영방안 등이 심층 논의되는, 아태지역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지역협력의 첫 걸음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붙임 무형문화유산 보호 아태지역 자문회의 계획 1부. [SET_FILE]1[/SET_FILE] 담당자 : 문화재교류과 박희웅 연락처 : 042-481-4737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