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영문 동시배포) ‘윷놀이’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 지정 예고
등록일
2022-09-26
주관부서
무형문화재과
작성자
문화재청
조회수
3745

문화재청, 우리 민족 대표 전통 놀이문화 가치 인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윷놀이’를 신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한다.

  ‘윷놀이’는 양편으로 나뉘어 윷가락 4개를 던져, 윷가락이 엎어지고 젖혀진 상태에 따라 윷판의 모든 말을 목적지에 먼저 도달시키는 편이 이기는 놀이로, 정초(正初)부터 정월대보름까지 가족 및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전승·유지되어 왔다. 또한, 산업화·도시화로 급격히 와해되는 사회변화에도 불구하고 오랜 역사와 전통 속에서 단절 없이 지금까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가치를 담은 대표적인 전통 놀이문화로 자리매김해왔다.

  역사문헌에서 ‘윷’의 유래와 역사를 살펴보면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문헌에서는 윷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용어를 발견하지 못하였으나, 윷을 ‘저포(樗蒲)’와 동일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혼용하여 지칭하기도 하였다. 이후 조선시대 초기에는 윷놀이에 해당하는 ‘사희(柶戲)’라는 용어가 나타났고, 조선시대 중·후기에는 ‘척사(擲柶)’라는 용어가 나타나 일제강점기와 현대에까지 널리 사용되는 용어가 되었다.
* 저포(樗蒲): 나무로 만든 주사위를 던져서 그 사위로 승부를 다투는 백제 시대의 놀이

  윷놀이는 특히 조선시대부터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김문표(金文豹, 1568~1608)는 윷판의 상징과 말의 움직임을 연구하여 『중경지(中京誌)』에 ‘사도설(柶圖說)’을 기술하였고, 이규경(李圭景, 1788~1856)은『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 ‘사희변증설(柶戲辨證說)’을 주장하였다. 또한 심익운(沈翼雲, 1734∼?)은 『강천각소하록(江天閣銷夏錄)』의 ‘사희경(柶戲經)’에서 윷가락․윷판은 물론 놀이법까지 자세히 기술하였는데, 이러한 다양한 역사문헌을 통해 윷놀이의 학술성이 매우 크고, 분명하며, 그 연구의 가치가 무궁무진함을 알 수 있다.

  윷놀이는 우리 민족의 우주관과 천문관을 바탕으로 음(陰)과 양(陽), 천체의 28수 등 형식의 완결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놀이의 방식이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윷놀이와 유사한 판놀이(보드게임)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놀이도구․놀이판․진행방식에서 볼 때 다른 판놀이에 비해 매우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윷가락의 다양한 지역적 분포(가락윷·종지윷 등), 윷판 없이 말로만 노는 건궁윷놀이 등 윷판의 다양한 형태, 놀이방법의 변형 등을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여지가 높고, 현재에도 인터넷과 이동통신을 통해 다양한 게임화가 이루어지는 등 변화하는 사회적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전승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맹인윷놀이의 전승 사실을 통해 사회적 요구에 따라 다양성과 창의성이 발휘될 수 있는 윷놀이의 특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에도 연초부터 정월대보름까지의 기간 동안 마을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척사대회를 개최하는 등 지속가능성이 매우 높고, 다양한 전승활성화가 가능하며, 운(運)에 기대는 운놀이라는 특성과 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우의 수(끗수)를 활용하는 가변성의 특성, 직관적 놀이 구성으로 배우기 쉬운 특성, 주변 상황에 맞게 열린 놀이의 특성 등을 지니고 있어 미래에도 활발하게 전승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윷놀이’는 ▲ 오랜 역사를 가지고 한반도 내에서 전승되고 있다는 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비롯하여 관련 역사적 기록이 풍부하게 확인되는 점, ▲ 윷판의 형성과 윷가락 사위를 나타내는 ‘도·개·걸·윷·모’에 대한 상징성 등 학술 연구 주제로서 활용도가 높은 점, ▲ 가족 및 마을 공동체를 중심으로 단절 없이 전승이 지속·유지되고 있는 점 등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다만, ‘윷놀이’는 한반도 전역에서 온 국민이 전승·향유하고 있는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김치 담그기’, ‘장 담그기’ 등과 같이 특정 보유자와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종목으로 지정하였다.
* 특정한 보유자와 보유단체를 인정하지 않고 공동체종목 지정 국가무형문화재 현황(총 15건)
: 아리랑, 제다, 씨름, 해녀, 김치 담그기, 제염, 온돌문화, 장 담그기, 전통어로방식–어살, 활쏘기, 인삼재배와 약용문화, 막걸리 빚기, 떡 만들기, 갯벌어로, 한복생활

  문화재청은 ‘윷놀이’에 대해 약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후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문화재의 지정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다. 아울러, 지정 예고 기간에 문화재청 누리집(http://www.cha.go.kr) 및 ‘K-무형유산’ 사회관계망서비스(페이스북, 인스타그램)를 통해서 ‘윷놀이’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들을 예정이다.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dministrator Choi Eung-Chon) plans to designate yutnori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

Yutnori is a traditional board game played by two people or two teams. Players throw four wooden sticks into the air and depending on how the sticks land, their tokens proceed on the board. The player or the team whose token has finished the circuit around the board first wins. Koreans have played yutnori on the first day of the new year as well as Jeongwol Daeboreum (a traditional holiday celebrating the first full moon after the Lunar New Year). Although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ve brought seismic changes to Korean society, Koreans have not stopped playing yutnori. As a result, yutnori enjoys a long history and has become Korea’s representative recreational activity that embodies the Korean people’s identity and values.

One cannot find words ‘yutnori’ or ‘yut’ in historical documents of Three Kingdoms era (57 B.C.-668 A.D.) or Goryeo Dynasty (918-1392), but some historians believe yutnori’s root can be traced to ‘jeopo.’* In the early part of the Joseon period(1392–1910), people played similar game‘sahi’, while in mid-to late-Joseon period, the game was called ‘cheoksa’ instead. The word ‘cheoksa’ was used throughout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1910-1945) and the following decades.
*jeopo: A game during Baekje Kingdom(18 B.C. - 600 A.D.) where players used wooden dice to compete.

It was during the Joseon period that scholars began to take note of yutnori and study it. They made detailed documentationin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how the board and sticks should look as well as the rules of the games. Scholarly aspect of yutnori is quite significant and evident, and the study of yutnori conducted so far is an invaluable asset.

Yutnori’s logic is based on the Korean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universe and astronomy. There is the yin and yang and the 28 constellations. The game is simple yet endless variations are always a possibility. There are similar board games around the world, but one can say that yutnori is indeed quite unique in its tools, the board and the rules.

Also, within Korea, each region has developed its own style of yutnori. Geongung Yutnori is actually played without a board and only with tokens. Others differ slightly in the shapes and forms of the board and the game itself. Today, people play yutnori online, allowing the tradition to be passed down to the younger generation despite many social changes. Most recently, yutnori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blind emerged, once again showing the game’s versatility and ability to transform and embrace.

Yutnori is – and has always been – a family or community event. Festivals marking the start of the new year as well as Jeongwol Daeboreum often feature cheoksa(yutnori) competitions even today, proving that yutnori is indeed sustainable throughout generations. It is intriguing how it’s the game of luck, yet there is variability stemming from the number of cases. It is also quite intuitive and easy to learn even for first-timers. It can also accommodate and adapt depending on who’s playing and where it’s being played.

To sum up, yutnori should be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e heritage, due to the following reasons:▲it has a long history and is being passed down generations, ▲its records can be found in historical documents including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is symbolism behind the board’s composition and the yut garak, or the wooden sticks(namely, doh, gae, geol, yut, moh),making it anideal subject of academic study and use, ▲it has been passed down and sustained among families and communities without any discontinuity.

But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not recognize a specific group or person in the designation, as it is a cultural tradition that all Koreans across the Korean peninsula keep and enjoy, as are the cases with ‘Kimchi Damgeugi(Kimchi making)’ and ‘Jang Damgeugi(Korean sauce and paste making).’


*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tems that do not recognize a specific group or person (Total: 15 items, as of now):
Arirang (Traditional folk song); Jeda (Tea making); Ssireum (Korean wrestling); Haenyeo (Women divers); Kimchi Damgeugi (Kimchi making); Jeyeom (Traditional salt making); Ondol (Underfloor heating system); Jang Damgeugi (Korean sauce and paste making); Traditional Fish-Eosal (Fishing weir); Hwalssoki (Traditional archery); Insam Jaebae and Yakyong Munhwa (Cultivation of Ginseng and its medicinal application); Makgeolli Bitki (Makgeolli making and sharing); Tteok Mandeulgi (Tteok making and sharing); Getbol Eoro (Tidal flat harvesting); Hanboksaenghwal(Hanbok cultur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receive opinions for 30 days on the planned designation of yutnori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efore making a final decision. People can share their views on the designation through the administration’s website (http://www.cha.go.kr), as well as social networking services (Facebook and Instagram) of ‘K-Intangible Heritage.


03_윷가락(강원도 강릉시)(출처 국립민속박물관).jpg

< 윷가락(강원도 강릉시)(출처 국립민속박물관)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무형문화재과 김영진 사무관(☎042-481-4961), 이정화 주무관(☎042-481-4994)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