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원형복원ㆍ정비 추진
등록일
2016-07-20
주관부서
문화재청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162

- 문화재청, 아관파천 120주년 맞아 외세 맞선 고종 의지 담긴 역사 교육자료로 활용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올해 아관파천 120주년을 맞아 서울특별시 중구청(구청장 최창식)과 함께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사적 제253호, 서울 중구 정동길 소재)'을 내년부터 원형복원ㆍ정비해 2021년까지 마무리하기로 했다. 
 * 아관파천(俄館播遷): 친러 세력에 의하여 고종 임금이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긴 사건으로, ‘아관(俄館)’은 러시아 공사관을 말함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은 일본이 명성황후를 시해한 1895년의 이듬해인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고종 임금이 피신하여 국정을 수행하며 대한제국 건설을 구상하였던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 곳이다. 1890년(고종 27)에 르네상스 양식으로 건립되었지만,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대부분 파괴되어 현재는 탑 부분만 남은 상태다.

 

  이곳에서 고종 임금은 친위 기병대를 설치하는 안건(1896.6.8.)과 지방 제도와 관제 개정에 관한 안건(1896.8.5.)을 반포하였으며, 민영환을 특명전권공사(特命全權公使)에 임명(1897.1.11.)하여 영국ㆍ독일ㆍ러시아 등 각국에 외교 사절로 머물게 하는 등 일본을 비롯한 열강으로부터 주권 회복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였다.

 

  또한, 환구와 사직 등에 지내는 향사(享祀, 제사)를 모두 옛 역서(曆書)의 예대로 거행하도록 조령(1896.7.24.)을 내리는 등 천자의 독립된 나라임을 알리기 위한 준비를 한 곳이기도 하다. 그 결과 고종 임금은 러시아 공사관을 떠나 경운궁으로 환궁(1897.2.20.)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환구단(圜丘壇)을 건축하고 환구 의례를 거행한 후 황제로 즉위하여 대한제국을 선포(1897.10.12.)하기에 이르렀다.
 * 환구단(圜丘壇)은 문화재 지정 시 문화재위원회에서 한글 표기는 고종 황제가 제사를 지낸 1897년 10월 12일 자 ‘독립신문’ 기록에 따라 ‘환구단’으로, 한자 표기는 <고종실록>에 전하는 바와 같이 ‘圜丘壇’으로 하기로 함

 

  내년에 복원이 마무리되는 ‘고종의 길’이 마지막으로 닿았던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 복원ㆍ정비 사업까지 완료되고 나면 현재 중ㆍ장기적으로 진행 중인 환구단 정비사업 등과 함께 당시 외세 열강에 맞서 자생적인 근대 국가를 추구했던 고종 임금의 삶을 폭넓게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역사교육자료가 될 것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근대기의 건축 유산을 발굴 보존하여 문화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이를 국민에게 널리 알릴 수 있도록 힘써나갈 것이다.

 

<1896년 촬영된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근대문화재과 김성도 서기관(☎042-481-4884), 김상영 주무관(☎042-481-4893)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