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국립문화재연구소, 우즈베키스탄 카라테파 유적에서 초기 불교사원의 가람 확인
등록일
2012-07-18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323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김영원)는 2011년부터 우즈베키스탄학술원 예술학연구소와 공동으로 우즈베키스탄 카라테파 유적을 발굴 조사한 결과, 쿠샨시대(1~3세기)에 해당하는 석굴(예배당), 지상 건물지(승원), 스투파(탑)로 이루어진 초기 불교사원의 가람(사원 건물의 배치)을 확인하였다.

 

  카라테파 유적은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가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 한국으로 이어지는 불교의 전파 과정을 보여주는 유적으로,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초기 불교사원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유적은 우즈베키스탄 남동쪽 끝 아프카니스탄과의 경계 지점인 테르메즈 지방에 위치한다. 이 일대는 쿠샨시대 불교문화의 중심지로 고대 도시유적과 초기 불교유적이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최근 발굴조사를 통해 유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유적 복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번에 발굴된 스투파는 평면형태가 원형이며, 가장자리를 따라 꽃병과 물병으로 사용했던 양이부호(兩耳附壺·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항아리)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부처를 상징하는 기념물로 알려진 스투파의 상징적 의미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양이부호 1점에서는 박트리아어를 카라테파 지역의 그리스 문자로 쓴 묵서(墨書)가 확인되었다. 묵서는 일반적으로 공양이나 봉헌과 관련된 내용이지만 대부분 깨진 조각에서 발견되어 전체 내용을 알기 어려웠다. 이번에 출토된 토기는 기형이 잘 남아 전체 문장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판독 결과가 주목된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카라테파 불교사원의 발굴조사와 함께 우즈베키스탄 남부에 위치한 유적들의 분포 현황조사를 실시하여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성과는 앞으로 인류문화유산에 대한 연구와 보존, 복원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라테파 유적 발굴조사는 우즈베키스탄과의 문화·외교 교류 차원에서 시행한 사업이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19일 오후 2시 본소 회의실(대전 유성구 문지동)에서 고고학계와 관심 있는 국민을 대상으로 ‘2012년 우즈베키스탄 카라테파 불교사원 발굴조사 성과 설명회’를 개최한다.

 

국립문화재연구소 홍형우 042-860-9171
                         이지영 042-860-9188

 

카라테파 유적 전경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