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1,000년의 신비를 고스란히 간직한 대형 마애불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내다!
등록일
2007-05-31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724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지병목)는 경주남산 열암곡(列岩谷) 석불좌상(石佛坐像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의 복원정비사업과 관련한 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마애불상(높이 약 5m)을 발견하였다. 이번에 발견된 불상은 암석(250×190×610㎝, 약70톤)의 면을 이용하여 고부조(高浮彫)로 조각한 마애불 입상이다. 불상이 조각된 암석은 원래 위치에서 경사진 앞쪽으로 넘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불상이 조각된 면이 지면에 닿아 있어 불상의 전체적인 면은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현재 암석의 남쪽 면 바위틈을 통해 대좌와 왼쪽 다리와 가슴·어깨 일부를 볼 수 있는 상태이다. 불상의 규모는 대좌에서 목까지가 430㎝이며, 지면에 묻혀있을 불두(佛頭)까지 포함한다면 전체 크기는 약 500㎝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 확인된 불상의 형태와 주변유적(열암곡 석불좌상)과의 관계로 미루어 보아 마애불의 조성 시기는 석불좌상과 같은 시기인 8세기 후반경이 아닐까 추정된다. 대부분의 마애불들이 수많은 세월의 풍화를 겪으면서 마모와 박락이 심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발견된 열암곡 마애불은 조각된 면이 지면(地面)에 묻혀 있었기 때문에 아주 우수한 보존 상태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예술적 우수성 또한 매우 높은 작품으로 근래 보기 드문 수작(秀作)으로 평가된다. 이번 발견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지난 4월부터 경주시의 의뢰로 열암곡 석불좌상(현재 불두가 결실된 상태, 사진 참조)의 불두(佛頭)(2005년 10월 인근 계곡에서 발견됨) 복원 및 주변 복원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하는 발굴조사 도중 확인되었다. 마애불은 석불좌상에서 약 20m 정도 떨어진 위치에서 발견된 것이다. 아마도 같은 경역 내에 위치하여 석불좌상과 더불어 예배대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주변부에 대한 정밀 조사를 확대해 전체적인 모습을 밝힐 예정이다. 특히 열암곡 석불좌상은 그 조각 수법이나 모습이 매우 아름다워서 불두 및 대좌 등이 복원되면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배가(倍加)되어 남산의 새로운 명물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번에 이와 연관이 있는 마애불이 같은 경역 내에서 발견됨으로써 향후 이 유적은 남산에서 가장 주목받는 우리 문화유산 성지(聖地)의 하나가 될 것이라 평가되고 있다. 이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는, 위의 경우처럼 방치된 우리 문화유산을 복원하고 정비하는 조사·연구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이번 발견과 같은 귀중한 우리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알리는 중요한 성과가 계속 이루어질 것이라 기대된다. 붙임 : 현황사진자료. [SET_FILE]1[/SET_FILE]
마애불상 근경
<마애불상 근경>


마애불상 노출모습
<마애불상 노출모습>


마애불상 세부
<마애불상 세부>


석불좌상에서 바라본 마애불상
<석불좌상에서 바라본 마애불상>
담당자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이주헌, 권택장 전화번호 : 054-777-8805, 8846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