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충청수영성」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
등록일
2009-08-24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514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8월 24일 충청남도기념물 제9호인 충청수영성(忠淸水營城)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사적으로 지정했다.


  충청수영성은 조선 초기에 설치되어 고종 33년(1896)  폐영(廢營)되었으며, 그 규모는 『세종실록지리지? 기록에 따르면 조선 초기 충청수영과 그 산하에 배속된 군선과 병력이 군선(軍船) 142척에 수군 수(水軍數)가 총 8,414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충청도 서해안 지역에 위치하여 한양으로 가는 조운선(漕運船)을 보호하고 왜구침탈을 방지했고, 근대에는 이양선을 감시하는 등의 역할을 했다. 선조 29년(1596), 충청수사 최호가 충청수영의 본영과 속진의 수군을 이끌고 남해 한산도에 머물며 수군통제사 원균의 지휘를 받다가 이듬해인 선조 30년(1597) 7월 1일 일본군에 패하여 통제사 원균과 함께 전사했다.


  또한, 충청수영성은 천수만 입구와 어우러지는 경관이 수려하여 조선시대 시인  묵객들의 발걸음이 잦았던 지역으로 성내의 영보정이 유명했고, 서문 밖 갈마진두(渴馬津頭)는 충청수영의 군율 집행터로 병인박해(丙寅迫害) 때 천주교 신부 다섯 명이 순교한 곳이다.


  근대에 들어 도로개설이나 호안매립 등으로 인하여 훼손된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충청수영성은 나머지 성지(城址) 뿐만 아니라 그 주변 지형이 거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군사목적에서 마련된 충청지역 수군 지휘부로써 충남의 수군편제와 조직, 예하 충청지역 해로(海路) 요해처(要害處)에 배치되었던 수군진과의 영속 관계 등을 보여주는 귀중한 유적으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


 ㅇ 지정 개요

   - 지정명칭 : 충청수영성(忠淸水營城)

   - 지정종별 : 사적 제501호

   - 소재지 : 충남 보령시 오천면 소성리 931번지 일대

   - 문화재구역 및 보호구역 면적 : 125,326㎡(271필지)

    ? 문화재구역 면적 : 10,378㎡(46필지)

    ? 보호구역 면적 : 114,948㎡(271필지)

   - 관리단체 : 충청남도 보령시청



붙임 : 현황 사진자료 1부.  끝.
 

 (충청수영성 항공사진)

(충청수영성 서문 홍예)

(충청수영성 성벽)

(객사죄익랑)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