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근대문화유산 문화재 등록예고
등록일
2008-08-11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5192

-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등 7건 -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8월 11일, 서울시 용산구 소재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등 근대문화유산 7건을 문화재로 등록키로 하고, 각 계의 의견 수렴을 위해 문화재 등록예고를 했다. 이번에 등록예고된 근대문화유산 중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은 1907년 조선통감부가 철도국 서울진료소로 개원 후 1913년 개칭된 용산철도병원의 본관건물로 1928년에 지하1층 지상2층 규모의 철근콘크리트조 벽돌마감으로 신축되었다. 현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으로 사용중인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 철도기지로 개발되었던 용산을 상징하는 건물로 적벽돌을 이용하여 유려한 곡선을 구성하고 있으며, 장식은 절제되었지만 형태적 측면에서 부드러운 느낌을 주고 있어 서양 고전양식에서 근대건축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현관 캐노피가 없어진 것 외에는 원형을 거의 간직하고 있고 초기 병원 모습을 보여주며 그 미적가치 또한 높아 건축적으로 가치가 있을 뿐 아니라, 철도를 중심으로 발전되어 온 용산의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제물포고등학교 강당」은 1935년 인천공립중학교의 강당으로 세워진 지하1층 지상1층 규모의 벽돌조 건물로 왕대공트러스로 15미터에 달하는 공간을 중간기둥 없이 처리한 것이 특징이며 전체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교육을 위해 지어졌으나, 1945년 11월 근대교육자인 길영희선생이 인천중학교 교장으로 정식 임명되면서 민족학교로 재개교하게 된 역사를 함께한 건물이다. 1954년 선생이 이 곳에 제물포고등학교를 설립하고 강당으로 활용하면서 학교정신을 훈화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자치교육을 통해 인천중학교, 제물포고등학교를 민족교육의 실험실로 만든 길영희교장과 교사공동체의 노력을 보여주는 현장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건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함께 예고된 ‘구룡포 일식가옥’ 5개동은 일제강점기 형성된 주택 및 상점 밀집지역에 있는 것으로 그 중 원형이 잘 보존되고 특징이 있는 건물들이다. 구룡포는 1910년대 이후 고등어 어업의 근거지로서 일본인 어민 집단 이주촌이 형성되었던 곳으로, 현재도 다수의 일본식 주택 및 상점이 밀집된 골목 200여미터가 존치되어 있어 당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 「구룡포 243번지 일식가옥」은 이 지역에 남아있는 것 중 가장 크고 격식을 갖춘 것으로 평가되는 건물로 당시 일식 목조건물로서의 구조적·의장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구룡포 가로에 남아있는 것 중 유일하게 중국식 목조장식 발코니를 갖춘 「구룡포 249-14번지 일식가옥」은 그 독특한 의장성을 인정받았으며, 「구룡포 249-34번지 일식가옥」은 평면 구성 상 안이 깊어 안쪽 건물을 별채처럼 다루면서 길에 접한 건물과 각각 별개의 2층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적인 건물로 전체적으로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아담한 느낌의 정면과는 달리 안이 깊고 각 층에 많은 방을 가지고 있어 기존에 여관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구룡포 389-1번지 일식가옥」과 주택으로서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구룡포 389-2번지 일식가옥」도 함께 등록예고되었다. 이번에 등록예고 되는 근대문화유산 7건은 30일간의 공고를 통해 소유자를 비롯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근대문화재분과 심의 등 등록절차를 거쳐 문화재로 등록될 예정이다. 붙임 1. 문화재 등록예고 현황 1부. 2. 사진자료 1부. 끝. [SET_FILE]1[/SET_FILE] [SET_FILE]2[/SET_FILE]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전경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전경>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신축당시 전경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신축당시 전경>


제물포고등학교 강당 전경
<제물포고등학교 강당 전경>


구룡포 243번지 일식가옥
<구룡포 243번지 일식가옥>


구룡포 249-14번지 일식가옥(중국식 목조장식 발코니)
<구룡포 249-14번지 일식가옥(중국식 목조장식 발코니)>


구룡포 249-34번지 일식가옥
<구룡포 249-34번지 일식가옥>


구룡포 389-1번지 일식가옥
<구룡포 389-1번지 일식가옥>


구룡포 389-2번지 일식가옥
<구룡포 389-2번지 일식가옥>
담당자 : 근대문화재과 김성도, 신미정 전화번호 : 042-481-4886, 4887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등록된 파일이 없습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