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신라 왕릉 39개소 정밀 실측조사 실시
등록일
2010-12-15
주관부서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153

  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경주 신라왕릉의 체계적인 기록보존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정밀 실측조사 사업을 4개년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조사는 일제강점기 이후 78년 만에 최초로 실시하는 사업으로 총 39개소 49기에 달하는 능·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동안 신라 왕릉에 대한 조사는 일제강점기시 “세키노 타타시(關野貞)”에 의한 고분배치도 보고(1902년)와 “후지시마 가이지로(藤島亥治郞)”에 의한 실측 및 탁본(1931년) 등 총 16개소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을 뿐 전체적인 능역에 대한 배치와 고분 및 석물 등에 대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첫해인 2009년에는 신라무열왕릉(사적 제20호)을 포함한 8개소의 조사를 완료했고, 올해는 신라성덕왕릉(사적 제28호)을 포함 14개소에 대한 조사가 진행 중에 있으며, 2011년에는 신라 내물왕릉(사적 제188호)을 포함 17개소를 완료하고 2012년   종합실측조사보고서를 발간할 계획이다.

 

  실측조사는 3차원 스캐너와 광파측정기를 사용하여 전체 능역 배치에 대한  측량을 실시하여 그 성과도를 가지고 봉분과 석물, 건물 등 부속 시설물을 포함하는 고분의 주변 배치 및 종단면도 등 도면을 작도한다. 구체적인 조사방법에 있어 고분(봉분)은 광대역 스캐너로 입체 스캔을 실시하고, 석물은 3D스캔으로 형상을 입체화시키며 파손 및 훼손상태 등을 상세히 기록하게 된다.

 

  또한, 수목은 광파기를 사용 정확한 위치의 좌표로 측량하고 수종 및 흉고를 조사하게 되며, 전체적으로 GPS측량을 통해 세계 좌표계를 작성하고 3차원   스캔데이터 활용을 통해 정확한 형상과 위치를 조사한다. 아울러 중국 당황제릉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신라 왕릉의 연원 확인도 병행하고 있다.

 

  고분 정밀실측을 통해 신라 왕릉의 보존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활용과 연구활성화, 경주역사유적지구에서 누락되어 있는 일부 신라 왕릉의 향후 세계유산 확장(extension) 추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보존정책과 차금용 042-481-4841

                 김영범 042-481-4842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문화재청은 「저작권법 시행령」제73조 및「공공저작물 저작권 관리 지침」제22조에 의해 공공누리를 2012.10.16.부터 적용합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