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좌측메뉴

제목
최초의 조선 시대 선박,‘바닷속 경주’태안에서 발굴되나
등록일
2015-04-22
주관부서
국립해양문화재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4052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마도 4호선 발굴조사 착수 / 4.23. 오전 11시 개수제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소재구)는 오는 23일 오전 11시 개수제(開水祭)를 시작으로, 수중문화재의 보고(寶庫)로 불리는 충청남도 태안군 마도 해역에서 조선 시대 선박으로 추정되는 마도 4호선에 대한 발굴조사를 실시한다.

  태안 마도해역은 예로부터 강한 물살과 암초, 짙은 안개 등으로 선박 운항이 어렵다 하여 난행량(難行梁)으로 불리었으며, 난파사고가 빈번했다는 기록이 전해지는 곳이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지난 2007년 태안선을 시작으로 2011년까지 마도 1, 2, 3호선 등 고려 시대 고선박 4척과 3만여 점에 달하는 유물이 잇달아 발굴되었으며, 지금까지 출수(出水)된 청자와 목간, 도기, 곡물, 젓갈, 선상 생활용품 등은 당시의 사회상과 생활상을 생생하게 전해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올해 조사는 지난해 태안해역에서 다섯 번째로 확인된 마도 4호선에 대한 정밀발굴이다. 특히, 선체 발견 당시 내부에서 분청사기 2점이 출수되어 현재까지 발견된 적이 없는 최초의 조선 시대 선박일 가능성이 높아 이번 발굴성과가 주목된다. 또한, 그 주변에서는 총 111점에 이르는 조선 시대 백자 꾸러미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조선 시대 백자의 해상유통 사례를 보여준 최초의 사례이다.

  또한, 지난 3월 마도해역에서 해저 지층 속의 이상물체를 탐지하는 최신 3차원 입체영상 지층탐사장비를 이용한 조사 결과, 마도 3호선과 인접한 지점(15m 내외)에서 고선박으로 추정되는 또 다른 물체가 탐지되어 이에 대한 확인 조사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번 정밀발굴조사는 오는 10월 25일까지 진행된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고대부터 활발한 해상교류를 펼쳤으며 이에 무궁무진한 잠재력을 지닌 해양 문화유산이 바닷속에 잠들어 있다. 앞으로 문화재청은 수중 문화재의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찬란했던 해상경영 역사는 물론, 바다 너머까지로 연결되었던 당시의 정치․경제․문화 네트워크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사라져 가는 해양 문화유산의 보존과 관리에 힘쓸 것이다.

<마도4호선 조사 수중사진>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해양문화재 수중발굴과 신종국 연구관(061-270-2062) 홍광희 주무관(041-675-2031)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페이지상단 바로가기